ㅇ 싱크가 안 맞는다?
인코딩 과정에선 영상과 음성의 싱크 에러가 생길 이유가 다양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자료를 인코더가 자료 확인을 안하고 그냥 업로드 했을 경우,
싱크에러가 고스란히 다운로더에게 전달되죠.
그렇게 많은 유저가 싱크오차를 성토한다면, 자료의 문제이지만, 자신 혼자만이 싱크 에러난다면,
체크할 부분이..
'영상 재생 중 cpu 많이 먹는 작업을 하고 있으신건 아닌지?'
'해당 압축코덱에 맞는 코덱으로 재생하고 계신지?'
'자신의 컴 사양이 낮은데, 고사양의 비트레이트를 필요로 하는 영상을 보고 계신건 아닌지?'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모두 이상 없는데, 플레이에 문제가 있다면, 자신이 사용하는 플레이어의 코덱설정에 들어가
해당 파일의 압축방식에 맞는 설정을 바꿔주셔야 합니다 (일단 남들이 안쓰는 재생기를 씌는 님들은 패스)
보편적으로 KMP / GOM_player 쓰시는 님은 F2 설정에서 오디오 씽크 맞춰서 보세요.
영상하고 오디오 싱크문제는 생략합니다 영상하고 자막 싱크문제 애니 같은 경우 스폰서 유무,오프링유무,비트레이트 관계 3개가지가 주원인입니다
ㅇ tp가 뭐야?
HD파일은 녹화원본 파일이 MPEG2 방식입니다.
TP, TS 형식이 mpeg2방식으로 녹화된 파일이며, 세가지는 모두 같은 겁니다.
방송국 전송된 데이타를 녹화할 시 해당 녹화프로그램의 디코딩 프로그램에 따라 확장자가 mpeg2
(mpg라 약칭된 확장자포함)나 tp나 ts로 저장이 되는데요.
토렌트 유저들은 모든 mpeg2방식을 걍 tp라고들 부르더군요. tp로 저장됩니다.
그런데 ts로 확장자가 붙은 건 tp파일을 따로 조각내어 디코딩 하는 과정에서 trance stream 이 되기 때문에 ts라 약칭하는 확장자로 저장이 된 겁니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는 모두 같은 파일 형식이고, 플레이어가 ts를 인식못하면
확장자 tp로 바꿔서 해 보시거나 코덱을 바꿔보세요. 모든 mpeg2 파일은 확장자가 중요하진 않습니다.
(제가 썩 전문가는 아니니, 글 중에 틀린 부분이 있다면, 다른 님들을 위해 조언 댓글 부탁드립니다)
요즘 음악방송을 개별tp라고 많이들 올라오고 좋아들 하시던데,
녹화된 원본을 필요한 파트별로 잘라낸 파일을 개별 tp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HD를 디코딩하게 되는 녹화원본 파일은 한시간 방송 기준 8기가 쯤 합니다.
그걸 모든 파트별로 완전 잘라내면 그대로 8기가 이지만, 불필요 부분은 버리고 필요부분만 저장하면
그 필요한 부분만큼의 파일 사이즈가 되어 적게는 3/4기가~ 7/8기가 용량의 파일이 되는 거죠.
ㅇ 인코딩이 뭐야?
방송국이 전송하는 HD파일 형식은 1920p x 1080i 로 전송됩니다.
p는 뭐에 약자인지 몰라도 영상표현의 점(도트라고도 하죠)을 의미하며 앞 숫자는 가로줄, 뒷 숫자는 세로줄입니다. 즉 가로로 1920개의 점으로 구성된 영상과 세로로 540점의 영상을 의미합니다.
(1080p란건 없습니다. 1080i라고 해서 세로 540점의 영상을 방송국이 1,3,5 식의 격수로 순차적으로 화면을 늘려서 송출한 것을 1080i라 합니다) 이 원본 mpeg2는 비트레이트가 5~8000천 등의 고화질 영상이고,
이것을 일반 유저가 시청하기엔 고사양의 피시가 필요하기에, 폭 넓은 유저의 감상을 위해 누군가가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인코딩이라 합니다.
ㅇ x264, xvid, dvix / 450p, 720p는 뭐야?
인코딩의 압축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인코딩 압축방식엔
x264, xvid, dvix 의 세가지가 주입니다
이중 인코딩하는 속도는 divx > xvid > x264 순이고
화질의 보존 질은 x264 > divx > xvid 순입니다.
특이 사항으론 divx와 xivd는 인코딩 속도도 큰 차이가 없고, 화질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x264 방식은 인코딩 속도가 2배부터 많게는 5~10배까지도 갈 수가 있습니다.
그에 따른 화질은 여타와 비교불허합니다
450p 720p는 위 인코딩이 뭐야에서 언급했듯이 세로줄의 영상점 숫자입니다.
그럼 720p가 450p보다 화질이 무조건 좋은가?
아닙니다. 영상점 갯수보다 중요한 건 압축방식이고, 같은 압축 방식일지라도
초당 전송되는 프레임의 갯수, 비트레이트, 인코딩시 사용하는 수 많은 스크립트와 필터 들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720p/1080i라고 말하고 괜히 cpu 사용량만 차지하고, 화질 개똥같은 파일들도 많습니다.
화질은 인코딩 하는 사람에 의해 결정이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