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16일 일요일

Registry Crawler_윈7 때문에 다시 뒤져본...

 

윈7

xp sp3를 기다리면서 알게 된, 그리고 맞선 보듯 설레임으로 맞이한,

비스타를 경험해 보지 못해 더욱 감동 스러운...

그래서 잦은 설치 오류를 겪어야만 하는, win 7

신혼 같은 나날이다.

그래서 책상 서랍속에서 꺼내게 되었다.

오래전 파일 이지만 유용해기에 올려 본다.

올릴 파일은 출처가 불분명하고...그러나 내가 쓰는 동안은 문제가 없었기에

포타블 파일로 올린다.   여기:   

 

오류 메시지는 살짝 무시하시라.

 

아래는 역시 출처 불분명의 화일 소개

 

정말 미안하지만 내가 블로그 할것은 생각도 못하고 늘 end_user 였기에,

혹시 아시거나 본인 이시면 댓글로 의사 표현 해 주시라.

받아 놓은 화일 중에 키젠과 함께 한 것이 있지만 올리지 않는다.

이유는 써 보시면 아시리라.

하지만 레지관련 프로그램이니 철저한 백업 요망된다.

혹시 내게 책임을 물어도 나는 돈도 없고 기능도 없는데다가...

가망 수명도 얼마 안 남았다.^^...

그럼 모두 패스하고 아래를 읽어 보신후 찌꺼기 제거 프로그램으로도 안 없어지는

지겹고 짜증나는 레지들을 저격해보자.

 

**Registry Crawler는 레지스트리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파워유저,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한테 알맞습니다.
Registry Crawler는 레지스트리 검색 엔진입니다.
압축을 풀면 영문판과 한글판이 있습니다.키젠을 열어 이름을 8자 이상을 쓰면 시리얼이 나옵니다 등록해 사용하세요. 이플은 고급자인 분에게만 권합니다. 프로그램을 자주 설치하고 삭제하다 보면 찌거기가 많이 남아요. 프로그램을 제어판이나 Ursoft와 같은 전문삭제플로 삭제해도 엔트리가 남는 수가 있는데 이플은 프로그램명을 정확히 입력해 주면 매우 신속하게(5배) 찾아주어 자기 컴을 결벽증(?)에 가까울 정도로 사용하는 유저한테 딱이죠. 컴퓨터 환경이 유저마다 달라 내 컴에서는 이상이 없는데 다른 유저한테는 이상 유발을일으키는 플이 있죠. 거듭 당부하지만 레지스트리에 지식이 얕은 분은 받지 마시길~**


Registry CrawlerRegistry Crawler


1.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설치를 마칩니다. [Try It] 아이콘을 누르면 시작합니다.
2.[Search For:] 칸에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아래에서 옵션에서 검색 범위를 선택합니다.
  [Keys], [Values], [Data], [HKEY_USERS] 등 모든 옵션을 체크합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검색 결과가 많으면 오류 발생 가능성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3.오른쪽 [How to serch] 항목에 [Match case],[Match whole string] 옵션에 체크하면
  대소문자와 일치하고 문자열이 맞는 키만 검색한다는 뜻입니다.
4.오른쪽 [Go] 버튼을 누르면 검색을 시작합니다. 검색이 끝나면 아래 창에 결과가 나옵니다.
  오른쪽에 [Goto Key]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뜨고
  레지스트리 값과 일치하는 항목에 커서가 이동합니다.
5.키를 더블클릭했을 때 다른 자세한 키 정보를 보려면
  [File]-> [Options]-> [General] 항목에서
  [Perform the following when an entry is double]에서
  [Show Key Details] 메뉴를 선택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뜨지 않습니다.
6.레지스트리 값과 실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7.실제로 데이터가 없으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지우던지,
  Registry Crawler 창에서 [Delete] 키로 지웁니다.
8.자주 가는 레지스트리 키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나 [Bookmark] 버튼을 눌러 북마크에 등록합니다.
9.검색 결과를 바로 HTML 파일로 만들려면 [Tools]-> [Generate HTML Report] 메뉴를 클릭합니다.
10.오른쪽 [Lookup] 버튼을 누르고 [Lookup Value] 옵션에 체크하고 [GO] 버튼을 누르면
   웹 뉴스그룹으로 이동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