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윈도우7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윈도우7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월 21일 금요일

ipfilter.dat 자동 업그레이드 IPFilter v148

온전히 개인적인 이유로 ipfilter를 구글에서 검색했다.





아무 생각없이 접속한 곳이 내가 만든 이 사이트라는 퐝당한 아이러니...



게다가,


듬성듬성 엑박이라니...





아래를 방문하면,




댓글로 알려주신 주소도 여기 첨부한다.감사의 말씀 전하면서...




항상 최신의 dat를 다운 받을 수 있다.


===> http://www.emule-mods.de/?mods=ipfilter

















언제 가도 반갑게 맞이 해주지만...



바쁜님들을 위해 바로 다운로드 주소 >>>>>> http://hostex.de/1270262077







Torrent가 이미 가동 중일 경우,


재시작 없이 필터를 적용하려면




1. Torrent 피어창에서 ipfilter재가동 명령을 실행
2. Torrent 옵션 설정창에서 확인 버튼을...




내경우(win7X64)엔 이파일이



{C:\Users\유저아디\AppData\Roaming\BitTorrent}안에 있다.




여러분들의 경우에 맞춰 압축해제 하시면 되겠다.



EX: %AppData%\uTorrent 폴더에 ipfilter.dat 파일을 넣고, uTorrent를 시작한다


























winrar가 설치돼있다면,















rar/ sfx 기능을 쓰면 노가다를 상당량 절감할 수 있다.




winRar로 압축화일을 열고 SFX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뜰 것이다.

















여기서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경로를 설정하시면 되겠다.







여기서 경로를 일일이 수작업 하시는 님은 없겠지만, 노파심에 한줄 더 쓴다.







탐색기 주소창을 왼클맄하면,




다시 오른마우스클릭으로 주소를 복사할 수 있는데 복사됀 주소를 경로창에 붙여 넣으면 되겠다.




















그러면 아래의 자동풀림 화일이 생성됀다.






^^; 물론 다들 아시겠지만...




나처럼 새로운 설치,혹은 고스트로 자주 미는 님은 이런 자동풀림화일을 버전업된프로그램,




혹은 기타 작업이 끝난후 만들어 두면 요긴 할 것이다.










아래는 예전 글




===============




---------------










비공개로 혼자만 보려구 했는데,




로그인 해야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공개 결정.




글쓴이 : 멀봐요원과 멀더줘요원





ipfilter.dat 란?
저작권 협회라던지 불법패킷을 보내는 ip를 모은 데이터입니다.. 제가 이파일을 열어 보았더니 우리나라의 저작권 단속기관도 상당히 있더군요..


1. ipfilter.dat 를 설치하면 이파일에 있는 ip는 자동으로 접속을 차단해 줍니다.

2. 첨부한 파일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면 다음화면이 뜨면서.. 최신 ipfilter.dat를 다운받아줍니다. 헉.. 첨부파일 업로드가 안되서 자료실에 올립니다.


3. 다른 방법도 있어 소개합니다.

다음을 텍스트 editor에 넣고 "파일이름.vbs" 라고 저장을 합니다.
그런다음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해 놓으면 주기적으로 다운을 받습니다. ^^
sDestFolder 는 자기 컴퓨터에 맞게 수정을 해주시고요..


'===DemoGetImageStream.vbs===
'
'Requires:
'
' - IE 5+ for "Microsoft.XMLHTTP"
' - ADO 2.5+ for "adodb.stream"
'
sSrcUrl = "http://easynews.dl.sourceforge.net/sourceforge/emulepawcio/"
sDestFolder = "C:\Users\369\AppData\Roaming\uTorrent"
sImageFile = "ipfilter.dat"




set oHTTP = WScript-x.CreateObject("Microsoft.XMLHTTP")




oHTTP.open "GET", sSrcUrl & sImageFile, False
oHTTP.send




set oStream = createobject("adodb.stream")
Const adTypeBinary = 1
Const adSaveCreateOverWrite = 2
oStream.type = adTypeBinary
oStream.open
oStream.write oHTTP.responseBody
oStream.savetofile sDestFolder & sImageFile, adSaveCreateOverWrite




set oStream = nothing
set oHTTP = nothing




WScript-x.Echo "Done..."
--------------------------------------
2008.06.27 15:00 보충
위에 3번 내용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분이 계셔서 내용을 추가 합니다.
간단히 제가 설정한 옵션에 대해서 보여 드리겠습니다..
작업스케쥴러를 엽니다.

위에서 ipfilter자동다운을 선택하고 옵션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블라블라....








xplorer2 1.8.0.9 x64등록

 

xplorer2-아시나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알고 계시고 써 오셨거나 써 본 기억이 있으시다면 다들 겪으신 경험이겠지만,

 

일단 아래를 보시라....

내 경우

하루에도 몇번씩 등록하라는 메세지를 보면서

제대로 작동하는 키를 찾다가 좌절하고, 결국 다른 비슷한 플그램들을 찾아 헤매다가  

무료 프로그램인 xplorer2_Lite를 찾아 쓰기도 하면서

3년가량 쓰던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3일간 연속으로 아무런 메시지 출력이 없다.  ^^;

lite에선 영문이 문제였고, 한글화 된 것은 X64버전이 아니라는 게 마음에 안 들었는데...

 

그동안 쓰던 것은 MasicKid 님이 만들어 주신 1.6.1 버전이었다.

그당시 유일한 -기억으로- 한글화 버전이었고, 유일하게 등록메세지를 출력하지않는,

제품이었는데.... ..................블라블라......

 

잡설은 끊고,

그이후에 여러번 버전업을 노렸지만 안되는 이유로 소개도 못 하다가

우연하게 버전업 가능한 방법이 생겨서 소개하게 되었다.

 

일단,

메세지를 출력하지않는 버전을 구한다.-제대로 된 크리가 있거나 키가 준비되면-

일단 나는 안 되었지만 처음 설치 하시는 님은 쉽게 작동되는 버전을 찾을 수도..

 

이단,

못 찾으신 님은 +> search.naver.comDOWN <=    

한글파일다운로드           한글화작업장

 

삼단,

키가 동작하는 제품을 설치(c:\),등록

언인스톨 하지말고 그대로 잘라내서 옮겨놓거나 삭제

신버전 (내 경우 X86에서 X64로 갈아 탐 실은 이런 이유로 신버전을 찾게 됨)

설치하고 원하신다면

한글화파일을 원블로그에서 시키는대로 삽입.

나처럼 자주 귀차니즘을 느끼신다면 hosts 파일에 등록

(127 과 0.0 의 차이는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의 차이)

네이버 광고창은 0.0.0.0으로 막았다.

호스티스 파일은 아래위치에서 메모장으로 편집

 

 

끝이지만  신경 쓰이는 님은 날짜를 뒤로 돌려 보고 확인사살.....

 

설치과정은 이렇게 끝이났다.

하지만 이런 장문의 글을 쓰게 된 것은  에 대한 애정이 있기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써보고 구매하는 님들도 생기기를 바란다.

 

    ======================================================

해서,

한글화가 아니였다면 몰랐을 - 꼭은 아니지만-  몇가지  팁을 써본다.

   =======================================================

 

탭만들기 기능은 XYplorer 에만 있는게 아니다.

써보면 바로 중독 될 것이다.

 

 

 

자주가는 폴더를 북마크 할 수 있다.

윈7의 탐색기에서도 북마크처럼 쓸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간편함과 직관성에서

압승? 아닐까하고 조심스러운 관전평을 쓴다. 활성화창에서 추가만 하면 된다.

 

 

펼쳐진 두개의 창을 좌우교체하거나 활성화창과 같게한다.

쓰기에 따라 상당히 유용하다.

xplorer2 의 숨겨진 재미중 하나가 xplorer2 빈 화면에서 더블 클릭을 하면

바로 상위 폴더로 넘어 가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정말 편하고 맘에 드는 것이 strokeit의 마우스 제스쳐에 몸을 맞긴 나조차도 본능적으로

쓰는 기능인데 제스쳐를 안쓰는 님은 손 맛을 잊기 힘들 것이다.

. 그리고 위 이미지에는 나와있지 않은데 -나는 안 쓰기 때문에-

이미지 썸네일기/기타 미리보기 창을 세팅할 수도 있다.....................휴....이제 2% 설명중......

 

-토커류를 논외로 하고

포스팅하기에 도저히 엄두가 나지않을 정도로 방대한 기능,

그러나 쉽게 친숙해 질 수 있는 기능들 많이 찾아서  써 보시기를 바라며.....

여기까지 어렵게 글을 읽어 오신 님들께  한마씀 드리자면

 저는 무료버전으로 갈아탔습니다. 2011 새해와 함께...

이유라면 무료로도 충분 하거니와 크랙됀 제품보다 빠르더군요.

물론 무료제품도 위의 내용은 모두 적용됩니다.

 

 

 

 

SuperSpeed RamDisk Plus 11.1.193 Portable / key /11.0.1 demo

SuperSpeed RamDisk Plus 11.1.193 Portable for Desktop Systems               Free Evaluation Download of Desktop Products

These downloads are fully functional. They will run during an evaluation period, after which they disable themselves. Once the evaluation period expires, the products cannot be reinstalled without a key. To extend the evaluation period, contact us at 1-877-388-7733 extension 2, or consultants@superspeed.com.

Note: Due to the memory intensive nature of our software drivers, performance gai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mount of available system memory (RA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your system, you must have sufficient available memory.

Please choose the correct build of your Windows operating system.

 

http://www.superspeed.com/download/trialversions.php

 

해로운과자 다운로드

새로 발견한 다운로드 링크이다. 아직 11 크리는 없고 10.1 원본 확보도 어려운 님들께...

컴터를 새로 갈아엎을 상황이 못되서 실험은 안되어 있슴

 

 

램디스크란 시스템의 RAM의 일부분을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램디스크를 설치하면 윈도우즈 탐색기에 D:나 E:와 같은 새로운 드라이브가 생기게 되죠.

램디스크를 이용하는 이유는 램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하드디스크의 그것에 비해

훨씬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하드디스크는 디스크의 헤더가 이리저리 움직이며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램은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때문에 비교도 할 수 없이 빠르죠.

따라서,

 이렇게 속도가 빠른 램디스크를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임시폴더로 지정해두면 인터넷 서핑을 할 때

하드디스크로부터 페이지를 읽는게 아니라 램으로부터 페이지를 읽기때문에 훨씬 더 속도가 빠르고

 하드디스크가 돌아가는 소리없이 쾌적한 서핑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Superspeed RamDIsk Plus는 이렇게 램디스크를 구현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설치한 후 Configure 툴에서 ADD를 누른다음

원하는 램디스크의 크기와 드라이브문자, 파일시스템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램디스크를 만들 수 있으며 여러개의 램디스크 드라이브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단, 시스템의 메모리가 512MB이상인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 램디스크에 가상메모리까지 지정한다거나 다운로드 임시폴더 지정을 하면

램디스크 용량보다 큰 파일을 제어 할 경우

실행이 안되거나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가 쓰는 방법은  인터넷 임시 파일 폴더를 램디스크로 지정하고,

16~32 Mb 정도를 수시로 쓰는 xplorer2와 The world Browser 프로그램의 설치폴더로하고,

256 Mb디스크를 생성해서 레디 부스트에 물린다.

시스템환경변수의 TEMP폴더는 쓰지 않는게 좋다는게  보편적인 의견이고,

램도 어차피 넉넉치 않아 쓰지않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설정을 유지하려면 시스템종료시에 하드에 저장을 하고 로딩하면서

읽어내는 시간이 꽤 갈어 진다는 것이다.(5~15초)

이런 딜레이를 크게 따지지 않고 생각한다면 시스템은 부드럽게 굴러 가는 것이 사실인 듯하다.


그리고,램용량이 크신분들은 간혹 가상메모리를 없애고 사용하시는데

가상메모리가 없으면 실행이 안되는 프로그램들도 있다는걸 신경써야 하겠다.

 

 

더이상 자세한 내용이 필요 하다면 검색을...

-참 불편한 블로그이지요...^^

 

 

붉은 원의 + 를 누르면 새로운 램 디스크를 생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pass...........................................

 

SuperSpeed RamDIsk Plus 10.1 x86

제작사에서는 10 버전이 사라졌다. 최근의 크랙거부 현상과도 연관이...?

 

 

SuperSpeed RamDIsk Plus 10.1 x64 

 

key from China         

 

 

 

키붹은 바이러스로 인식하고 삭제되는 경우가 많아서 따로 첨부하였다.

님 잘 쓰시길 ...^^

 

오류가 있던 부분 수정해서 올렸다.

설치시 메모장에 복사 한 뒤,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키를 넣어주어야 한다.

 

 

내 경우는 램디스크 하나 더만들어서 레디부스트용르로 쓰고 있는데...

 

p.s

1st 20100103

그동안 잘 쓰고 있던 램디스크를 삭제한지 3주쯤 되었다.

이유는 내가 쓰는 메인브라우저인  the world가 자체에 숨김화일로 인터넷템프를 생성하고,

쓰고있었단 사실을 발견하면서... 공교롭게도 eBoostrPro를  쓰기 시작한 때에,

결국 한정된 메모리에서 디스크 생성이냐, 부스트용도냐의 선택 와중에 떨궈져 나간 것이다.

물론 이 프로그램은 램이4기가 이상 더더욱 XP라면,

거의 필수적으로 써야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하면서...

The world Browser 를 쓰시는 님들 참조하시라고 부연붙여 올린다.

 

 

2010.4.9 추가토렌트 파일이다.

문제가 있는 님께서 질문을 주셨는데...답글을 올릴 형편이 안돼서-테스트가 안돼는 이유로

새로운 파일을 검색해서 올려둔다.  시도해 보시길 바라면서..

 

2010.4.11 이틀간의 확인결과

Ramdisk 11버전의 경우 정상작동되는 크랙은 없고 사기성 링크만이 난무하고있다.

경험상 제대로된 크랙은 한두달 가량 기다려 봐야 할 듯...

확인 되는대로 올릴 것을 스스로 다짐하며...  이만 총총...

 

 


2010년 4월 9일 금요일

Windows 7 Manager_1.2.1

 

Windows 7 Manager는 윈도 7의 시스템을 최적화 해서 성능을 최대한 올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
1.1.8이후에 즉 1.2.0이 되면서 온라인 업뎃은 막혔네요..--->였습니다만...

업뎃하면 15일 trier로 변하더군요.

하지만

1.2.1.로 라이브업뎃후 작동확인 - 아마도 네임과 키들을 막은듯하다.

오늘 4/9 현재 작동하는 뷐은 아래 의견란의 답글에 있다.

 

다양한 트윅장치를 뺀다면

자체가 꾀나 무거운 프로그램이라서 system clean 용도로는 사용치 않고 있다. 

트윅용이시라면 트라이얼로 충분하다고 말씀드리면서 무책임하게

글을 맺는다.      

 

설치해 보시고 답글 주시면 감사하겠다.

물론 연락 안주셔도 된다.  늘 좋은 일만 가득들 하시기를 바라며..

 

but 혹시 모르니-골치아픈 상황이 연출되기도 하는바

시스템 백업 하시고 시도 하시기를  권한다.

 

원본다운로드출처

http://www.yamicsoft.com/windows7manager/index.html

 

 

 

 

 

 

 총 7가지의 큰 메뉴와 그 안에 들어있는 세부 메뉴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설정 사항을 변경하더라도

 변경전으로 돌리는 기능과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설정 변경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화한

프로그램입니다.

 

최적화를 진행하기 전에 메인 메뉴에 있는 'Create System Restore Point'를 눌러서 복구 포인트를 만든 후 최적화를 진행하면 추후 문제 발생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Information에서는

사용자의 시스템에 관한 모든 하드웨어 정보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기능과

사용자의 컴퓨터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서와 쓰레드의 상세 정보 보기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또한 1클릭 만으로 사용자의 시스템을 자동으로 최적화해주는 자동화 기능도 제공을 해줍니다.

 

Optimizer 메뉴에서는

윈도우 시작과 종료시의 속도를 더욱 빠르개 해주는 기능과 메모리 최적화,

하드웨어 최적화를 통한 시스템의 속도 향상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서비스를 중지 시키는 기능과 인터넷 익스플로러 복원 기능 및

특정 시스템 컴포넌트 복원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Cleaner 메뉴에서는

윈도 이곳저곳에 널려있는 쓰레지 파일들의 제거및 레지스터리를 검사해서

삭제되어야할 잘못된 레지스터리등을 정리해줍니다.

프로그램중 언인스톨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Uninstall 기능을 이용해서 깨끗하게

제거하실수 있고 Type Library를 통해 라이브러리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tip:Dup.Files Finder가 이곳에 숨어있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처럼 세밀한 옵션은 없지만

     간단하고 빠르게 중복 파일을 찾아내고 삭제 할 수 있다.-주의 요망

registry defrag:  AusLogics Registry Defrag와 거의 흡사하게 동작한다.

 

Customization 메뉴에서는

윈도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설정 조절과

마우스 우측 클릭시 나타나는 컨텐츠 메뉴의 수정,

시스템 데스크탑/메뉴/툴바/통지설정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또한 데스크탑의 배경화면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Security 메뉴에서는

시스템 시큐어리티 메뉴를 통해 시스템과 메뉴, 데스크탑, 로그온 세팅,

컨트롤 패널등에 대해 패스워드를 통한 제한을 하실수 있고

드라이브와 프로그램, 파일과 폴더에 대한 패스워드 설정으로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으실수도 있습니다.

또한 삭제된 파일을 완전히 복구 할수 없도록 삭제 해 주는 기능과 윈도를 사용했던

모든 흔적을 제거해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Network 메뉴에서는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설정과 아웃룩 익스플레스의 설정, 즐겨찾기의 변경및 수정,

메시지 보내기, MTU 설정및 네트워크와 전용선 속도를 올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tip: IP swicher(아시는 분만) 가 이곳에 숨어있다

 

Misc. Utilities메뉴에서는

자동 Shoutdown 기능과 컴퓨터의 사용 시간 제한, 알람 시계,

레지스터리 에디터, 시스템 컨피규레이션,

시스템 Restore, -- 상당히 유용한 기능으로 원본 파일로 교체해서 수정하는 듯

Clean Up Drive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2010년 1월 25일 월요일

Fresh RAM v5.0 간략 사용기

 

 

원래 타고나기를 보기좋은 떡이 맛있다는 주의라서,

간만에 이쁜 프로그램을 보고 잠깐 쪼물딱 거리게 되었다.

MEDsa님이
 올린 아래의 프로그램이다.

ㅡ> http://wimage.torrentdown.com/bbs/board.php?bo_table=mu_ut_ta&wr_id=383392&page=2

 

위의 사이트가 또 렉이다.
======================================================

Down 

S/N    1UVG-VN41-U6P5-UDNS-G3CK



========================================================

 

 


외관이 꽤나 앙징맞은데, 설정도 오밀조밀하다.

(설치시에 이미 키를갖고있다)**3번째선택창**를 선택
키입력뒤에

설정창에서 최소 작동간격이 5분으로 나오는데,,,
선택하신후 수작업으로 1분으로 변경시키시면 되겠다.

MEDSA님...덕분에 함 써 볼 기회가 있었는데,
감사하단 말씀 이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전한다..

 

설치된후 프로세스에서 약3메가내외, 가상메모리에서 5메가내외를 쓰고있다.

설치후에 최초3분여 간은
같은류의 다른 프로그램보다 시퓨사용량이 약간 많은 듯 하게 움직였는데,,,
10 여분 관찰결과 별 차이점은 없어 보인다.

이런류의 프로그램이라는게 그 효과를 뼈저리게 느낄 기회가 거의 없는것이
사실이고,
그저 오류나 뿜지않고 가끔 할일은 하는가 보다 느끼게 해주면
일단 감사하는 플그램인지라 더이상의 관찰은 하지않기로 했다.

 

3~4일 쓴 결과 오류없고, 가볍고, 상당히 고단한 조건을 주었는데도 제할일 다하는 듯...

CleanMem
Fresh RAM v5.0
EBOOSTR 이렇게 한지붕 세살림을 하는중인데,
 기특하게도 충돌이나, 버벅이는 흔적없이 사이가 좋다.
본래 수치나 계측자료보다는 내가 쓰는 느낌을 더 중요시하는 편이라...
정말 기특하단 말외엔 적절한 표현이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쓸만한 이쁜 프로그램이란 느낌이다..


도움이 조금은 되셨기를 바라면서.....  ^^;

2009년 10월 8일 목요일

Defraggler 1.14.159 portable

Defraggler는 CCleaner로 유명한 Pirifom사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조각모음 프로그램입니다.

1.14.159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제작사에는 포터블버전이 없길래 급히 만들어(이것도 만든거인지 의문이지만..)
올린다.
아마 문제는 없으리라 여겨진다.
크게 문제가 되어봐야  작동불능 정도 일테니 써보시고 맘에 안들면
 제작사에서 설치파일   받으시길 권한다.
lang_ko 첨부되어있다.





DOWN


  KO_lang     http://blog.daum.net/koreanize/   <---한글 파일 만들어 주신 고마운 님...짝짝짝

Defraggler 특징
  • 드라이브 분석 및 조각모음 기능
  • 3 가지 조각모음 기능 제공
    • 드라이브 조각모음
    • 폴더 조각모음
    • 파일 조각모음 - 기본 조각모음 모드
    • 조작법 난이도 : 쉬움
    • 한글 메뉴 : 지원 안함

 

xp시절^^;      -벌써 이런 표현을-

잠시 써보았으나 특별한 감흥을 받지 못하고 정리했었는데

우현한 기회에 다시 사용해보니,

 

1.   7의 도움이겠지만 외관이 미려해지고,

 

2.   조각모음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으며,

 

3.   시스템화일의 정리를 깔끔하게 할 뿐만 아니라

 

4.   무엇보다도 부팅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체험하였다는 것이다.

     오해가 있을 듯한데, 그동안 쓰던 조각모음은 윈7에서 C드라이브를 효과적으로 요리하지

     못한 감이 있었다는 내용이다.

 

5.  10/7일 추가

     빠른 조각모음만 가끔 해 주는게 좋다는 결론이다.)개인적으로)

    풀로 조각모음하는 경우, 윈7과 힘겨루기를 하는 듯하다.

    요걸 쓰고나서 업그레이드 된 사실을 발견 했다. 더 부드러워진 듯하다.

    감상평은 다음에.....

 

 

 

단점이라면 동시에 여러 드라이브를 조각모음 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중요하다는 님에게는 메리트가 없겠다.

 

고스트로 밀어버리기를 반복하는 습관때문에 조각모음의 실행은 보통 백업전으로 거의 국한되는데,

그동안 써본 -7에서,오직 내 컴-

플중 가장 궁합이 맞는 듯하다.

 

해서 크랙과 키젠 행사로 받은 무료키등 좋다고 소문난 유료플과 Aslogicsdefrag

뒤로하고 포스팅한다.  머 이 글 자체는 별로 읽을만한 영양가가 없는 듯하지만

앞으론 이것을 강력 추천하게 될 듯하다.

 

 

 

 

downLoad: http://www.defraggler.com/download

 

  KO_lang     http://blog.daum.net/koreanize/

 

 

 

 

2009년 9월 24일 목요일

Windows Loader v1.9.5

 

 

Windows Loader v1.9.5   (x86 & x64)

 

유용하게 쓰이기도 하는 듯 해서  링크 올립니다.

필요하신 분은 즐겨찾기로 해 놓으시면

항상

최신 버전 받으실 수 있어요...^^

=======================================================================

 

 =>  http://forums.mydigitallife.info/showthread.php?t=8632

 

=======================================================================

 

 

 

 

 

 

머,...긁적 긁적....

딱히 의미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너무 블로그가 폐쇄 분위기라,

 분위기 반전용으로...

올립니다.

 

개인 사정으로  시간이 없네요.

혹시라도 오시는 님들께 한마디 하려고

-블로그 이념에 맞지는 않지만 ^^-

...

.

상당히 필요하다 싶은 포스팅꺼리가 있으면,

또 뵙게씁니다.

 

 

 

 

 

Features:
Input any Ultimate or Professional key (comes with 4 preset keys, I will add more for other versions when they are released)
Automatically finds an available drive letter (if required)
Installer and uninstaller built in as standard
Checks your Windows 7 version and build before install
Automatically finds your active boot partition (May work on Dell PC's)
Should work on all languages (Tested on simplified Chinese)
Should work with hidden partitions
Works on Windows 7 Ultimate and Professional editions
Support for bios modded users
Can activate Windows Vista SP2
Improves Windows 7 boot time on a Mac (Compared to other loaders)
 
Version 1.5.5
Improved error handling even more
Rewrote drive mounting code (should fix the x64 mounting issue and letter assignment)
Mac users should now automatically have the experimental loader option selected for them
Tweaked UI layout just a little (width was off)
Fixed other minor issues

 

 

 

1.개조바이오스 인증

2.가상바이오스 인증

3.MAC 인증

 

 

 

 

 

 

 

 

2009년 9월 10일 목요일

부팅 가능한 유용한 이미지(iso,ima,etc) 파일들

 

 

 

   부팅 가능한 이미지(iso,ima,etc) 다운받기

 

 

 

 

    i) 5부팅5유틸

 

대단하다고 할 만한 것이 이제는 없어져버린 약 5년전 이미지인데,

개인적으론 가장 많이 쓰게되는 이미지파일이다.

98 부팅이고, NTFS 하드를 볼 수 있다.

ghost 8.5 (?)_ 기억이 가물가물...  하드마다 고스트11을 심어놓은 관계로...

여러분들도 시스템 파티션을 제외한 하드디스크에--시스템은 고스트로 복원할 것이니^^

버전별 고스트를 하나씩 복사해 놓으면 실수를 피해 가실 수 있을 것이다.

 

 

 

 

   ii) snoopyGhost R3

완벽한 시스템이미지를 만들고 만족하고 계신다면, 유용하게 이용하시겠다.

 하지만,

--귀차니즘이 있으면서도 새로운 프로그램 설치를 저처럼 밥먹듯-하루에 한끼^^-하신다면--

고스트의 일반적 사용법은 구글링하시더라도

알아 놓으시길 심각하게 권한다.

 

 

 

   iii) boot_IMA  (win98_boot_image) 

이름 그대로, 98 시동디스크 이미지이다.

 

 

 

 

 

 

 

 

 

 

 

 

 

 

 

 

 

 

 

 

 

 

 

정말 쉬운 DOS 부팅 USB 만들기

 

 

ultraiso-를 이용하여 DOS 부팅 USB 만들기  

 

황당한  삽질 중에 .......... 는 이미 이야기 나누었다.

1. 일단 프로그램을 받는다.          DOWN_utils    

    필요한건 다 있다.    아예 다 받아 버린다.

 

ultraiso_간략 소개

 

자동적으로 파일 구조를 최적화 시키므로 원본 데이터 보존을 완벽히 처리하며,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는 .ISO, .BIN, .IMG, .CIF, NRG, .BWI 등이 있습니다.

 

지원 가능한 포맷에 보면 나와있듯이 네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해 주는 이미지 변환 포맷을
자동으로 지원해 주며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Burnning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시 나오는 기본 인터페이스에서 하위창의 파일 내용을 위로 끌어서
이미지 생성 버튼을 눌르면 되는것이 기본 구조이며
하드디스크에 새롭게 디렉토리 생성이나 CD Space 저장을 자동으로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처음에 사용할 메뉴들에 관해 도움말이 상세하게 잘 나와 있으므로
도움말을 프로그램 실행시 미리 숙지하시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권함을 당할만한 분^^

   i) 시디 굽기위해 이미지 생성 작업을 자주 하시는 분
  ii) CD게임은 별로 안하지만 가끔 이미지를 마운트 해야  할 분
 iii) 게다가 이것 저것 설치 파일 쓰는 것이 싫으신 분
 iv) 보너스로 부팅 가능한 USB 급히 만드실 분

      이런 님들께 유용한 프로그램 입니다.

 

1.추가 USB 를 장착한다.

 

2.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      DOWN_utils    

     여기서 이미지는 (iso,ima,etc)- 물론 다 아시겠지만....

원하는 이미지 파일-준비가 안되셨다면 다운받은 샘플파일-을 선택 합니다.

일단 snoopyR2는 피합니다.

이유는 나중에...

 

 

3.  부팅 가능 하도록 만들기

 

 

 

위의 화면을 따라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쓰기를 누르면 진행....완료

 

 

 

4.  설마,그러나   --- 컴터 시작시 usb로 부팅하려면---

   

    모르시진ㅡㄴ 않겠지만 혹시나 해서 멍 때리면서도  따라 해도 할 수 있도록 쓰려고 한다.

 

    i)일단 USB가 꼽힌 상태로 재부팅

   ii)재부팅중 F2나 dell 간혹은  F12를 번갈아 가며,

아니면 한꺼번에  Allegro_메트로놈 표기 120에 맞추어 두드린다.

손가락이 짧아 슬프신 분은 F2와dell키만 누르셔도 98%는 설정화면으로 진입 할 것이다.

 

 

참조) 안철수연구소

CMOS 설정으로 들어가기

CMOS 설정으로 들어가려면 어떻게 할까요? CMOS 설정으로 들어가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해야합니다.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자마자, 검은색 도스 화면에 여러가지 글자들이 빠르게 지나갑니다.

이 때, 빠르게 키보드의 Enter 오른쪽에 있는 Del (Delete)이나 F2를 빠르게 누르면

 CM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CMOS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Award Software 사에서 만든 제품과,

 Phoenix Technologies 사에서 만든 제품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CMOS 두 제품을 가지고 CMOS 설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부팅 순서 변경하기 - Award CMOS

DEL (Delete) 키를 눌러서 CMOS 설정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Award Software 사의 CMOS입니다. <-- 꼭 그렇진 않습니다.

눈이 좋은 분은 컴퓨터를 켜고 처음 나오는 검은 창의 맨 아래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안보이시죠...^^
문구가 보이지 않는다해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팅한 후 Del을 마구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문구가 보이지 않는다해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팅한 후 Del을 마구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indows가 아니라서 마우도도 작동하지 않고, 키보드로 메뉴를 탐색해야며,

메뉴도 영문으로 되어 있어서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하지만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1.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누릅니다. 그러면, Advanced Bios Features가 빨간색으로 지정됩니다.
  2. Enter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3. 맨 아래의 Boot Seq & Floppy Setup이 빨간색으로 선택될 때까지
  4. 키보드의 방향키 ↓를 계속 누릅니다.
  5. Enter 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메뉴 중에 First Boot Device (첫번째 부팅 장치)가 있고 Second Boot Device (두번째 부팅 장치)가 있습니다.
  6.  Windows로 바로 부팅이 되어 버렸다면 분명히 First Boot Device에 Hard Disk 혹은 HDD-0으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HDD-0은 첫번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뜻하는 약자입니다.

  7. Hard Disk 혹은 HDD-0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Enter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First Boot Device라는 작은 창에서 부팅 1순위를 고를 수 있습니다.

  8. 키보드의 방향키 ↑와 ↓를 이용하여, CDROM으로 점을 옮겨 놓습니다.
  9. Enter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다시 나옵니다.



    다시 나온 화면이기는 하지만 바뀐 부분이 있지요?
  10. First Boot Device가 CDROM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CD롬으로만 부팅이 가능하므로, 이번에는 부팅 2순위를 지정해 봅시다.

  11.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눌러 Second Boot Device를 빨간색으로 지정한 후, Enter를 누릅니다.
  12. 이번에는 Second Boot Device라는 작은 창이 나옵니다. 부팅 2순위를 지정하는 창입니다.
  13. 키보드의 방향키 ↑와 ↓를 이용하여 Hard Disk나 HDD-0을 선택한 후, Enter를 누릅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아래 그림처럼 부팅 1순위(First Boot Device)는 CD롬이고, 부팅 2순위(Second Boot Device)는 하드 디스크로 맞게 설정이 되었나요?

  14. 원하는 설정이 되었다면, 키보드의 Esc를 누릅니다.



  15.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 Esc를 한번 더 누릅니다.



    자, 맨 처음에 봤던 화면으로 돌아 왔습니다. 설정은 다 했으므로 CMOS 설정을 빠져 나가야 합니다. 빠져나가는 방법은 두가지 입니다.



    • Save & Exit Setup: 지금까지 변경한 설정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메뉴입니다.
    • Exit Without Saving: 지금까지 변경한 설정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는 메뉴입니다.
    • 무언가 잘못 설정했거나, 불안할 경우에 저장을 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Exit Without Saving을 선택하고 빠져나간다면 전혀 설정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 단순히 CMOS 설정을 확인하거나 살펴보기 위해서 들어간 경우 선택하면 됩니다.


  16. Save & Exit Setup과 Exit Without Saving 중에서
  17. 원하는 메뉴를 키보드의 방향키 ↑↓→←를 이용하여 빨간색으로 선택한 다음, Enter를 누릅니다.



    전 Save & Exit Setup을 선택하였습니다.
  18. 다시 한번 저장하고 종료할 것인지를 묻는 창이 나옵니다.
  19. Y를 누르면 종료되고 N을 누르면 CMOS 설정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20. Y를 눌러 CMOS 설정을 종료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면 부팅1순위는 CD롬이 되고, 2순위는 하드 디스크가 됩니다.

자동으로 재부팅 되면서, 맨처음에 물어봤던 Boot From CD/DVD: 메세지가 나옵니다.

부팅 순서 변경하기 - Phoenix CMOS

Phoenix사에서 만든 CMOS는 키보드의 F2 키를 눌러서 설정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부팅한 후 F2 키를 마구 누르면 됩니다.

누르는 타이밍이 있기는 하지만 처음에는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어려우므로 그냥 마구 누릅니다.

  1.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맨 위의 Main이 회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눌러 Boot가 회색이 되도록 이동합니다.



  2.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Windows로 바로 부팅이 되어 버렸다면
  3. 분명히 CD-ROM이 그림과 같이 Hard Drive보다 아래쪽에 있을 것입니다.
  4. 키보드의 방향키 ↑ 와 ↓를 적절히 사용하여 CD-ROM이라는 단어가 들어있는 항목을
  5. 흰색으로 선택합니다.



  6. 이번에는 키보드의 + 키를 눌러 CD-ROM이 항목의 맨 위로 오게 만듭니다.
  7. + 키는 선택한 항목을 1순위 올릴 때 사용하며,
  8. 반대로 키보드의 - 키는 선택한 항목을 1순위 내릴 때 사용합니다.
  9. 아래 그림과 같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10. 설정을 제대로 하였다면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눌러 Exit가 회색이 되도록 이동합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Exit Saving Changes: 설정 변경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 Exit Discarding Changes: 설정 변경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합니다.
    • Load Setup Default: 기본 설정을 불러옵니다.
    • Discard Changes: 변경했던 항목을 원래대로 돌려 놓습니다.
    • save Changes: 변경했던 항목을 저장합니다.


  11. 키보드의 방향키 ↑, ↓를 이용해서 원하는 항목을 흰색으로 선택합니다.
  12. 설정을 정확히 했을 때는 Exit Saving Changes를 선택하고, 뭔가 잘못 설정한 것 같으면 Exit Discarding Changes를 선택합니다.
  13. Enter를 누릅니다. 아래와 같이 다시 물어보는 창이 나오면 Enter를 한번 더 눌러 종료합니다.





컴퓨터 재부팅될 것입니다. 이후에는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올 것입니다. 얼른 아무 키나 누르세요.


Boot From CD/DVD:

Press any key to boot from CD...



부팅 순서 변경하기 - 다른 제조사

Award 사나 Phoenix사의 CMOS가 거의 80~90%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AMI 나 다른 CMOS 제조사도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 만드는 회사에서 직접 만든 CMOS도 있습니다.

대부분 마찬가지로 F2나 Del을 마구 누른다면 CMOS 설정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안의 설정하는 방식도 대부분 비슷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로 설정해보거나, 제조사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아 설정을 바꾸어 보세요...

 

iii)휴, 길고긴 포스팅이었다.

   미리 골격을 만들어 놓으니 오히려 더 힘들고, 기나긴 글이 돼버린점 사과드린다.

iv)

....패스

 

이제 거의 준비가 끝났다.

 

다음 포스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