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ti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ti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월 21일 금요일

ipfilter.dat 자동 업그레이드 IPFilter v148

온전히 개인적인 이유로 ipfilter를 구글에서 검색했다.





아무 생각없이 접속한 곳이 내가 만든 이 사이트라는 퐝당한 아이러니...



게다가,


듬성듬성 엑박이라니...





아래를 방문하면,




댓글로 알려주신 주소도 여기 첨부한다.감사의 말씀 전하면서...




항상 최신의 dat를 다운 받을 수 있다.


===> http://www.emule-mods.de/?mods=ipfilter

















언제 가도 반갑게 맞이 해주지만...



바쁜님들을 위해 바로 다운로드 주소 >>>>>> http://hostex.de/1270262077







Torrent가 이미 가동 중일 경우,


재시작 없이 필터를 적용하려면




1. Torrent 피어창에서 ipfilter재가동 명령을 실행
2. Torrent 옵션 설정창에서 확인 버튼을...




내경우(win7X64)엔 이파일이



{C:\Users\유저아디\AppData\Roaming\BitTorrent}안에 있다.




여러분들의 경우에 맞춰 압축해제 하시면 되겠다.



EX: %AppData%\uTorrent 폴더에 ipfilter.dat 파일을 넣고, uTorrent를 시작한다


























winrar가 설치돼있다면,















rar/ sfx 기능을 쓰면 노가다를 상당량 절감할 수 있다.




winRar로 압축화일을 열고 SFX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의 화면이 뜰 것이다.

















여기서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경로를 설정하시면 되겠다.







여기서 경로를 일일이 수작업 하시는 님은 없겠지만, 노파심에 한줄 더 쓴다.







탐색기 주소창을 왼클맄하면,




다시 오른마우스클릭으로 주소를 복사할 수 있는데 복사됀 주소를 경로창에 붙여 넣으면 되겠다.




















그러면 아래의 자동풀림 화일이 생성됀다.






^^; 물론 다들 아시겠지만...




나처럼 새로운 설치,혹은 고스트로 자주 미는 님은 이런 자동풀림화일을 버전업된프로그램,




혹은 기타 작업이 끝난후 만들어 두면 요긴 할 것이다.










아래는 예전 글




===============




---------------










비공개로 혼자만 보려구 했는데,




로그인 해야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공개 결정.




글쓴이 : 멀봐요원과 멀더줘요원





ipfilter.dat 란?
저작권 협회라던지 불법패킷을 보내는 ip를 모은 데이터입니다.. 제가 이파일을 열어 보았더니 우리나라의 저작권 단속기관도 상당히 있더군요..


1. ipfilter.dat 를 설치하면 이파일에 있는 ip는 자동으로 접속을 차단해 줍니다.

2. 첨부한 파일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면 다음화면이 뜨면서.. 최신 ipfilter.dat를 다운받아줍니다. 헉.. 첨부파일 업로드가 안되서 자료실에 올립니다.


3. 다른 방법도 있어 소개합니다.

다음을 텍스트 editor에 넣고 "파일이름.vbs" 라고 저장을 합니다.
그런다음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해 놓으면 주기적으로 다운을 받습니다. ^^
sDestFolder 는 자기 컴퓨터에 맞게 수정을 해주시고요..


'===DemoGetImageStream.vbs===
'
'Requires:
'
' - IE 5+ for "Microsoft.XMLHTTP"
' - ADO 2.5+ for "adodb.stream"
'
sSrcUrl = "http://easynews.dl.sourceforge.net/sourceforge/emulepawcio/"
sDestFolder = "C:\Users\369\AppData\Roaming\uTorrent"
sImageFile = "ipfilter.dat"




set oHTTP = WScript-x.CreateObject("Microsoft.XMLHTTP")




oHTTP.open "GET", sSrcUrl & sImageFile, False
oHTTP.send




set oStream = createobject("adodb.stream")
Const adTypeBinary = 1
Const adSaveCreateOverWrite = 2
oStream.type = adTypeBinary
oStream.open
oStream.write oHTTP.responseBody
oStream.savetofile sDestFolder & sImageFile, adSaveCreateOverWrite




set oStream = nothing
set oHTTP = nothing




WScript-x.Echo "Done..."
--------------------------------------
2008.06.27 15:00 보충
위에 3번 내용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분이 계셔서 내용을 추가 합니다.
간단히 제가 설정한 옵션에 대해서 보여 드리겠습니다..
작업스케쥴러를 엽니다.

위에서 ipfilter자동다운을 선택하고 옵션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블라블라....








xplorer2 1.8.0.9 x64등록

 

xplorer2-아시나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알고 계시고 써 오셨거나 써 본 기억이 있으시다면 다들 겪으신 경험이겠지만,

 

일단 아래를 보시라....

내 경우

하루에도 몇번씩 등록하라는 메세지를 보면서

제대로 작동하는 키를 찾다가 좌절하고, 결국 다른 비슷한 플그램들을 찾아 헤매다가  

무료 프로그램인 xplorer2_Lite를 찾아 쓰기도 하면서

3년가량 쓰던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3일간 연속으로 아무런 메시지 출력이 없다.  ^^;

lite에선 영문이 문제였고, 한글화 된 것은 X64버전이 아니라는 게 마음에 안 들었는데...

 

그동안 쓰던 것은 MasicKid 님이 만들어 주신 1.6.1 버전이었다.

그당시 유일한 -기억으로- 한글화 버전이었고, 유일하게 등록메세지를 출력하지않는,

제품이었는데.... ..................블라블라......

 

잡설은 끊고,

그이후에 여러번 버전업을 노렸지만 안되는 이유로 소개도 못 하다가

우연하게 버전업 가능한 방법이 생겨서 소개하게 되었다.

 

일단,

메세지를 출력하지않는 버전을 구한다.-제대로 된 크리가 있거나 키가 준비되면-

일단 나는 안 되었지만 처음 설치 하시는 님은 쉽게 작동되는 버전을 찾을 수도..

 

이단,

못 찾으신 님은 +> search.naver.comDOWN <=    

한글파일다운로드           한글화작업장

 

삼단,

키가 동작하는 제품을 설치(c:\),등록

언인스톨 하지말고 그대로 잘라내서 옮겨놓거나 삭제

신버전 (내 경우 X86에서 X64로 갈아 탐 실은 이런 이유로 신버전을 찾게 됨)

설치하고 원하신다면

한글화파일을 원블로그에서 시키는대로 삽입.

나처럼 자주 귀차니즘을 느끼신다면 hosts 파일에 등록

(127 과 0.0 의 차이는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의 차이)

네이버 광고창은 0.0.0.0으로 막았다.

호스티스 파일은 아래위치에서 메모장으로 편집

 

 

끝이지만  신경 쓰이는 님은 날짜를 뒤로 돌려 보고 확인사살.....

 

설치과정은 이렇게 끝이났다.

하지만 이런 장문의 글을 쓰게 된 것은  에 대한 애정이 있기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써보고 구매하는 님들도 생기기를 바란다.

 

    ======================================================

해서,

한글화가 아니였다면 몰랐을 - 꼭은 아니지만-  몇가지  팁을 써본다.

   =======================================================

 

탭만들기 기능은 XYplorer 에만 있는게 아니다.

써보면 바로 중독 될 것이다.

 

 

 

자주가는 폴더를 북마크 할 수 있다.

윈7의 탐색기에서도 북마크처럼 쓸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간편함과 직관성에서

압승? 아닐까하고 조심스러운 관전평을 쓴다. 활성화창에서 추가만 하면 된다.

 

 

펼쳐진 두개의 창을 좌우교체하거나 활성화창과 같게한다.

쓰기에 따라 상당히 유용하다.

xplorer2 의 숨겨진 재미중 하나가 xplorer2 빈 화면에서 더블 클릭을 하면

바로 상위 폴더로 넘어 가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정말 편하고 맘에 드는 것이 strokeit의 마우스 제스쳐에 몸을 맞긴 나조차도 본능적으로

쓰는 기능인데 제스쳐를 안쓰는 님은 손 맛을 잊기 힘들 것이다.

. 그리고 위 이미지에는 나와있지 않은데 -나는 안 쓰기 때문에-

이미지 썸네일기/기타 미리보기 창을 세팅할 수도 있다.....................휴....이제 2% 설명중......

 

-토커류를 논외로 하고

포스팅하기에 도저히 엄두가 나지않을 정도로 방대한 기능,

그러나 쉽게 친숙해 질 수 있는 기능들 많이 찾아서  써 보시기를 바라며.....

여기까지 어렵게 글을 읽어 오신 님들께  한마씀 드리자면

 저는 무료버전으로 갈아탔습니다. 2011 새해와 함께...

이유라면 무료로도 충분 하거니와 크랙됀 제품보다 빠르더군요.

물론 무료제품도 위의 내용은 모두 적용됩니다.

 

 

 

 

SuperSpeed RamDisk Plus 11.1.193 Portable / key /11.0.1 demo

SuperSpeed RamDisk Plus 11.1.193 Portable for Desktop Systems               Free Evaluation Download of Desktop Products

These downloads are fully functional. They will run during an evaluation period, after which they disable themselves. Once the evaluation period expires, the products cannot be reinstalled without a key. To extend the evaluation period, contact us at 1-877-388-7733 extension 2, or consultants@superspeed.com.

Note: Due to the memory intensive nature of our software drivers, performance gai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mount of available system memory (RA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your system, you must have sufficient available memory.

Please choose the correct build of your Windows operating system.

 

http://www.superspeed.com/download/trialversions.php

 

해로운과자 다운로드

새로 발견한 다운로드 링크이다. 아직 11 크리는 없고 10.1 원본 확보도 어려운 님들께...

컴터를 새로 갈아엎을 상황이 못되서 실험은 안되어 있슴

 

 

램디스크란 시스템의 RAM의 일부분을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램디스크를 설치하면 윈도우즈 탐색기에 D:나 E:와 같은 새로운 드라이브가 생기게 되죠.

램디스크를 이용하는 이유는 램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하드디스크의 그것에 비해

훨씬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하드디스크는 디스크의 헤더가 이리저리 움직이며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램은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때문에 비교도 할 수 없이 빠르죠.

따라서,

 이렇게 속도가 빠른 램디스크를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임시폴더로 지정해두면 인터넷 서핑을 할 때

하드디스크로부터 페이지를 읽는게 아니라 램으로부터 페이지를 읽기때문에 훨씬 더 속도가 빠르고

 하드디스크가 돌아가는 소리없이 쾌적한 서핑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Superspeed RamDIsk Plus는 이렇게 램디스크를 구현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설치한 후 Configure 툴에서 ADD를 누른다음

원하는 램디스크의 크기와 드라이브문자, 파일시스템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램디스크를 만들 수 있으며 여러개의 램디스크 드라이브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단, 시스템의 메모리가 512MB이상인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 램디스크에 가상메모리까지 지정한다거나 다운로드 임시폴더 지정을 하면

램디스크 용량보다 큰 파일을 제어 할 경우

실행이 안되거나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가 쓰는 방법은  인터넷 임시 파일 폴더를 램디스크로 지정하고,

16~32 Mb 정도를 수시로 쓰는 xplorer2와 The world Browser 프로그램의 설치폴더로하고,

256 Mb디스크를 생성해서 레디 부스트에 물린다.

시스템환경변수의 TEMP폴더는 쓰지 않는게 좋다는게  보편적인 의견이고,

램도 어차피 넉넉치 않아 쓰지않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설정을 유지하려면 시스템종료시에 하드에 저장을 하고 로딩하면서

읽어내는 시간이 꽤 갈어 진다는 것이다.(5~15초)

이런 딜레이를 크게 따지지 않고 생각한다면 시스템은 부드럽게 굴러 가는 것이 사실인 듯하다.


그리고,램용량이 크신분들은 간혹 가상메모리를 없애고 사용하시는데

가상메모리가 없으면 실행이 안되는 프로그램들도 있다는걸 신경써야 하겠다.

 

 

더이상 자세한 내용이 필요 하다면 검색을...

-참 불편한 블로그이지요...^^

 

 

붉은 원의 + 를 누르면 새로운 램 디스크를 생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pass...........................................

 

SuperSpeed RamDIsk Plus 10.1 x86

제작사에서는 10 버전이 사라졌다. 최근의 크랙거부 현상과도 연관이...?

 

 

SuperSpeed RamDIsk Plus 10.1 x64 

 

key from China         

 

 

 

키붹은 바이러스로 인식하고 삭제되는 경우가 많아서 따로 첨부하였다.

님 잘 쓰시길 ...^^

 

오류가 있던 부분 수정해서 올렸다.

설치시 메모장에 복사 한 뒤,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키를 넣어주어야 한다.

 

 

내 경우는 램디스크 하나 더만들어서 레디부스트용르로 쓰고 있는데...

 

p.s

1st 20100103

그동안 잘 쓰고 있던 램디스크를 삭제한지 3주쯤 되었다.

이유는 내가 쓰는 메인브라우저인  the world가 자체에 숨김화일로 인터넷템프를 생성하고,

쓰고있었단 사실을 발견하면서... 공교롭게도 eBoostrPro를  쓰기 시작한 때에,

결국 한정된 메모리에서 디스크 생성이냐, 부스트용도냐의 선택 와중에 떨궈져 나간 것이다.

물론 이 프로그램은 램이4기가 이상 더더욱 XP라면,

거의 필수적으로 써야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하면서...

The world Browser 를 쓰시는 님들 참조하시라고 부연붙여 올린다.

 

 

2010.4.9 추가토렌트 파일이다.

문제가 있는 님께서 질문을 주셨는데...답글을 올릴 형편이 안돼서-테스트가 안돼는 이유로

새로운 파일을 검색해서 올려둔다.  시도해 보시길 바라면서..

 

2010.4.11 이틀간의 확인결과

Ramdisk 11버전의 경우 정상작동되는 크랙은 없고 사기성 링크만이 난무하고있다.

경험상 제대로된 크랙은 한두달 가량 기다려 봐야 할 듯...

확인 되는대로 올릴 것을 스스로 다짐하며...  이만 총총...

 

 


2010년 4월 9일 금요일

Windows 7 Manager_1.2.1

 

Windows 7 Manager는 윈도 7의 시스템을 최적화 해서 성능을 최대한 올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
1.1.8이후에 즉 1.2.0이 되면서 온라인 업뎃은 막혔네요..--->였습니다만...

업뎃하면 15일 trier로 변하더군요.

하지만

1.2.1.로 라이브업뎃후 작동확인 - 아마도 네임과 키들을 막은듯하다.

오늘 4/9 현재 작동하는 뷐은 아래 의견란의 답글에 있다.

 

다양한 트윅장치를 뺀다면

자체가 꾀나 무거운 프로그램이라서 system clean 용도로는 사용치 않고 있다. 

트윅용이시라면 트라이얼로 충분하다고 말씀드리면서 무책임하게

글을 맺는다.      

 

설치해 보시고 답글 주시면 감사하겠다.

물론 연락 안주셔도 된다.  늘 좋은 일만 가득들 하시기를 바라며..

 

but 혹시 모르니-골치아픈 상황이 연출되기도 하는바

시스템 백업 하시고 시도 하시기를  권한다.

 

원본다운로드출처

http://www.yamicsoft.com/windows7manager/index.html

 

 

 

 

 

 

 총 7가지의 큰 메뉴와 그 안에 들어있는 세부 메뉴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설정 사항을 변경하더라도

 변경전으로 돌리는 기능과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설정 변경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화한

프로그램입니다.

 

최적화를 진행하기 전에 메인 메뉴에 있는 'Create System Restore Point'를 눌러서 복구 포인트를 만든 후 최적화를 진행하면 추후 문제 발생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Information에서는

사용자의 시스템에 관한 모든 하드웨어 정보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기능과

사용자의 컴퓨터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서와 쓰레드의 상세 정보 보기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또한 1클릭 만으로 사용자의 시스템을 자동으로 최적화해주는 자동화 기능도 제공을 해줍니다.

 

Optimizer 메뉴에서는

윈도우 시작과 종료시의 속도를 더욱 빠르개 해주는 기능과 메모리 최적화,

하드웨어 최적화를 통한 시스템의 속도 향상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서비스를 중지 시키는 기능과 인터넷 익스플로러 복원 기능 및

특정 시스템 컴포넌트 복원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Cleaner 메뉴에서는

윈도 이곳저곳에 널려있는 쓰레지 파일들의 제거및 레지스터리를 검사해서

삭제되어야할 잘못된 레지스터리등을 정리해줍니다.

프로그램중 언인스톨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Uninstall 기능을 이용해서 깨끗하게

제거하실수 있고 Type Library를 통해 라이브러리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tip:Dup.Files Finder가 이곳에 숨어있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처럼 세밀한 옵션은 없지만

     간단하고 빠르게 중복 파일을 찾아내고 삭제 할 수 있다.-주의 요망

registry defrag:  AusLogics Registry Defrag와 거의 흡사하게 동작한다.

 

Customization 메뉴에서는

윈도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설정 조절과

마우스 우측 클릭시 나타나는 컨텐츠 메뉴의 수정,

시스템 데스크탑/메뉴/툴바/통지설정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또한 데스크탑의 배경화면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기능도 제공을 합니다.

 

Security 메뉴에서는

시스템 시큐어리티 메뉴를 통해 시스템과 메뉴, 데스크탑, 로그온 세팅,

컨트롤 패널등에 대해 패스워드를 통한 제한을 하실수 있고

드라이브와 프로그램, 파일과 폴더에 대한 패스워드 설정으로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으실수도 있습니다.

또한 삭제된 파일을 완전히 복구 할수 없도록 삭제 해 주는 기능과 윈도를 사용했던

모든 흔적을 제거해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Network 메뉴에서는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설정과 아웃룩 익스플레스의 설정, 즐겨찾기의 변경및 수정,

메시지 보내기, MTU 설정및 네트워크와 전용선 속도를 올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tip: IP swicher(아시는 분만) 가 이곳에 숨어있다

 

Misc. Utilities메뉴에서는

자동 Shoutdown 기능과 컴퓨터의 사용 시간 제한, 알람 시계,

레지스터리 에디터, 시스템 컨피규레이션,

시스템 Restore, -- 상당히 유용한 기능으로 원본 파일로 교체해서 수정하는 듯

Clean Up Drive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2010년 1월 25일 월요일

Fresh RAM v5.0 간략 사용기

 

 

원래 타고나기를 보기좋은 떡이 맛있다는 주의라서,

간만에 이쁜 프로그램을 보고 잠깐 쪼물딱 거리게 되었다.

MEDsa님이
 올린 아래의 프로그램이다.

ㅡ> http://wimage.torrentdown.com/bbs/board.php?bo_table=mu_ut_ta&wr_id=383392&page=2

 

위의 사이트가 또 렉이다.
======================================================

Down 

S/N    1UVG-VN41-U6P5-UDNS-G3CK



========================================================

 

 


외관이 꽤나 앙징맞은데, 설정도 오밀조밀하다.

(설치시에 이미 키를갖고있다)**3번째선택창**를 선택
키입력뒤에

설정창에서 최소 작동간격이 5분으로 나오는데,,,
선택하신후 수작업으로 1분으로 변경시키시면 되겠다.

MEDSA님...덕분에 함 써 볼 기회가 있었는데,
감사하단 말씀 이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전한다..

 

설치된후 프로세스에서 약3메가내외, 가상메모리에서 5메가내외를 쓰고있다.

설치후에 최초3분여 간은
같은류의 다른 프로그램보다 시퓨사용량이 약간 많은 듯 하게 움직였는데,,,
10 여분 관찰결과 별 차이점은 없어 보인다.

이런류의 프로그램이라는게 그 효과를 뼈저리게 느낄 기회가 거의 없는것이
사실이고,
그저 오류나 뿜지않고 가끔 할일은 하는가 보다 느끼게 해주면
일단 감사하는 플그램인지라 더이상의 관찰은 하지않기로 했다.

 

3~4일 쓴 결과 오류없고, 가볍고, 상당히 고단한 조건을 주었는데도 제할일 다하는 듯...

CleanMem
Fresh RAM v5.0
EBOOSTR 이렇게 한지붕 세살림을 하는중인데,
 기특하게도 충돌이나, 버벅이는 흔적없이 사이가 좋다.
본래 수치나 계측자료보다는 내가 쓰는 느낌을 더 중요시하는 편이라...
정말 기특하단 말외엔 적절한 표현이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쓸만한 이쁜 프로그램이란 느낌이다..


도움이 조금은 되셨기를 바라면서.....  ^^;

2009년 10월 8일 목요일

Defraggler 1.14.159 portable

Defraggler는 CCleaner로 유명한 Pirifom사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조각모음 프로그램입니다.

1.14.159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제작사에는 포터블버전이 없길래 급히 만들어(이것도 만든거인지 의문이지만..)
올린다.
아마 문제는 없으리라 여겨진다.
크게 문제가 되어봐야  작동불능 정도 일테니 써보시고 맘에 안들면
 제작사에서 설치파일   받으시길 권한다.
lang_ko 첨부되어있다.





DOWN


  KO_lang     http://blog.daum.net/koreanize/   <---한글 파일 만들어 주신 고마운 님...짝짝짝

Defraggler 특징
  • 드라이브 분석 및 조각모음 기능
  • 3 가지 조각모음 기능 제공
    • 드라이브 조각모음
    • 폴더 조각모음
    • 파일 조각모음 - 기본 조각모음 모드
    • 조작법 난이도 : 쉬움
    • 한글 메뉴 : 지원 안함

 

xp시절^^;      -벌써 이런 표현을-

잠시 써보았으나 특별한 감흥을 받지 못하고 정리했었는데

우현한 기회에 다시 사용해보니,

 

1.   7의 도움이겠지만 외관이 미려해지고,

 

2.   조각모음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으며,

 

3.   시스템화일의 정리를 깔끔하게 할 뿐만 아니라

 

4.   무엇보다도 부팅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체험하였다는 것이다.

     오해가 있을 듯한데, 그동안 쓰던 조각모음은 윈7에서 C드라이브를 효과적으로 요리하지

     못한 감이 있었다는 내용이다.

 

5.  10/7일 추가

     빠른 조각모음만 가끔 해 주는게 좋다는 결론이다.)개인적으로)

    풀로 조각모음하는 경우, 윈7과 힘겨루기를 하는 듯하다.

    요걸 쓰고나서 업그레이드 된 사실을 발견 했다. 더 부드러워진 듯하다.

    감상평은 다음에.....

 

 

 

단점이라면 동시에 여러 드라이브를 조각모음 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중요하다는 님에게는 메리트가 없겠다.

 

고스트로 밀어버리기를 반복하는 습관때문에 조각모음의 실행은 보통 백업전으로 거의 국한되는데,

그동안 써본 -7에서,오직 내 컴-

플중 가장 궁합이 맞는 듯하다.

 

해서 크랙과 키젠 행사로 받은 무료키등 좋다고 소문난 유료플과 Aslogicsdefrag

뒤로하고 포스팅한다.  머 이 글 자체는 별로 읽을만한 영양가가 없는 듯하지만

앞으론 이것을 강력 추천하게 될 듯하다.

 

 

 

 

downLoad: http://www.defraggler.com/download

 

  KO_lang     http://blog.daum.net/koreanize/

 

 

 

 

2009년 9월 2일 수요일

윈도우7의 새로운 기능을 위한 단축키 몇가지

 

 

 

 

 

 

 

윈도우에는 단축키가 참 많죠.

하지만 윈도우 탐색기를 제외하고는 잘 모르고, 잘 사용하지도 않죠.
그러나 알고만 있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축키가 은근히 많이 있습니다.
윈도우7에서는 이런 예전의 단축키와 함께
윈도우7의 새로운 기능을 위해 단축키가 몇개 추가되었습니다.

 

 

 단축키                     기능

 Alt + P                     내 컴퓨터에서 미리보기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윈도우키 ++              (F10 밑에 있는 키)
 윈도우키 + -             (F10 밑에 있는 키)  화면 확대 축소
 윈도우키 + P             프로젝터 출력 옵션 변경
 윈도우키 + Space      바탕화면 보기               ?
 윈도우키 + [숫자]      작업표시줄 단축아이콘 실행, 작업표시줄에 놓여 있는데도 번호 부여됨
 
 윈도우키 + T             작업표시줄 단축아이콘간 전환 
 윈도우키 + Up
 윈도우키 + Down  UP: 활성화된 창 전체 화면
 DOWN:                     활성화된 창 이전 크기로 -> 작업표시줄로 내리기
 윈도우키 + Shift + Up  활성화된 창 위 아래로만 꽉차게 창 확대
 
 윈도우키 + Left / 윈도우키 + Right        활성화된 창 좌우로 꽉차게 (Aero Snap기능)
 윈도우키 + Home       활성화된 창을 제외한 모든 창 최소화(Aero Shake기능)
 윈도우키 + E             라이브러리 폴더 열기 새창
 윈도우키 + Shift + Left
 윈도우키 + Shift + Right  모니터를 2개이상 사용하고 있을때 창을 다른 모니터로 이동
 Ctrl + Shift + Click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trl + Click               새창이 맨뒤에서 열림


직접 한번씩 해보면서 자신에게 유용할것 같은 단축키 기능은 익혀두시면 좋겠네요.

 

 

 

웹 페이지 탐색
인터넷 탐색기로 웹 페이지를 탐색할 때 사용되는 단축키이다.


F1                 인터넷 탐색기의 도움말 F11 전체 화면 토글
Tab               다음 항목으로 이동 Shift+Tab 이전 항목으로 이동
Alt+Home      홈 페이지로 이동 Alt+→ 다음 페이지로 이동
Alt+←           이전 페이지로 이동 Shift+F10 마우스 우측 버튼 메뉴
Ctrl+Tab|F6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 Shift+Ctrl+Tab 이전 프레임으로 이동
↑↓              문서 위쪽으로 스크롤 / 문서 아래쪽으로 스크롤
Page Up        페이지 단위로 위로 이동 Page Down 페이지 단위로 아래로 이동
Home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 End 문서의 끝으로 이동
Ctrl+F           현재 페이지에서 찾기
F5|Ctrl+R       현재 웹 페이지를 새로 고침
Ctrl+F5         무조건 새로 고침
Esc               현재 동작 중지
Ctrl+O|Ctrl+L 새 위치로 이동
Ctrl+N          새 창 열기
Ctrl+W          현재 창 닫기             Ctrl+S           현재 페이지 저장
Ctrl+P 현재 페이지 인쇄                 Enter 선택한 링크 활성화
Ctrl+E 검색 표시줄 열기                 Ctrl+I 즐겨찾기 모음 열기
Ctrl+H 히스토리 열기                     Ctrl+클릭 여러 폴더 열기


미리 보기
미리 보기 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축이다.

 

Alt+P 인쇄 옵션 설정 Alt+U 페이지 설정
Alt+Home 인쇄할 첫 페이지 표시  Alt+← 인쇄할 이전 페이지 표시
Alt+A 표시할 페이지 번호 입력  Alt+→ 인쇄할 다음 페이지 표시
Alt+End 인쇄할 마지막 페이지 표시 Alt+- 축소
Alt++기 확대 Alt+Z 확대/축소 백분율 목록 표시
ALT+F 프레임 인쇄 설정 Alt+C 미리 보기 닫기


주소 표시줄
인터넷 탐색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소 표시줄 관련 단축키이다.

 
Alt+D 주소 표시줄로 이동 F4 입력한 주소 목록 표시
Ctrl+← 구분자 단위로 왼쪽으로 이동 Ctrl+→ 구분자 단위로 오른쪽으로 이동
Ctrl+Enter 동 주소 입력("www.", ".com" 추가) ↑ 자동 완성 목록에서 앞으로 이동
↓ 자동 완성 목록에서 뒤로 이동    


즐겨찾기
인터넷 탐색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즐겨찾기 관련 단축키이다.

 
Ctrl+D 즐겨찾기에 현재 페이지 추가
Ctrl+B 즐겨찾기 구성 대화 상자 열기
Alt+↑ 즐겨찾기 목록에서 선택한 항목 위로 이동
Alt+↓ 즐겨찾기 목록에서 선택한 항목 아래로 이동


편집
인터넷 탐색기의 편집 메뉴에 관련된 단축키이다.

 

Ctrl+X 선택한 항목 클립보드로 잘라내기
Ctrl+C 선택한 항목 클립보드로 복사
Ctrl+V 클립보드의 내용을 선택한 위치에 삽입
Ctrl+A 현재 페이지의 모든 항목 선택

 

 

 

 

2009년 8월 30일 일요일

ProcessExplorer11.33

ProcessExplorer11.33   <= download

[한글화] Process Explorer 11.33 => http://blog.daum.net/koreanize/

자세한 사용법  http://shinyhappy.tistory.com/25

 

간략설명

윈도우 작업관리자의 기능을 한층 강화하여 사용자가 윈도우 프로세스및 기타 구동중인 프로그램의 관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Anvir task manager 보다는 가볍게 구동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프로세스를 인터넷에서 바로 검색

수 있어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설치가 필요없이 실행 파일 하나로 구동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입니다. 

 

ProcessExplorer를 이용한 Troubleshooting

이전 포스트에 이어 무엇으로 ProcessExplorer을 이용한 Troubleshooting을 보여드릴까 고심 하던 중

제 Laptop에서 ProcessExplorer를 사용해 문제해결을 한 예가 있어 여러분들께 보여 드릴까 합니다.

 한가지 말씀드릴 것은 여기서 말씀 드리는 방법은 ProcessExplorer를 사용하는 하나의 예제이며

더 낳은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내용]

IE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한 뒤 IE를 다른 URL로 이동하거나 종료버튼을 누르면

 IE에서 프로그램 응답 없음(Hang) 상태가 발생한다.

 

 

[해결과정]

위와 같은 문제 상황에서 가정을 세워 봅니다

‘IE는 문제가 없다, 그렇다면 IE 실행 시 환경적인 요인이 IE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닐까?’

대부분 IE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ActiveX혹은 툴바(Tool bar)같은 3’rd party 제품이

 IE에 붙어 실행되면서 나타나므로 문제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어떤 것들이 IE와 함께 로드 되는지를 확인 하고 그것을 Disable하여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 합니다.

 특정 컴포넌트를 Disable하고 문제가 재발하지 않았다면 해당 컴포넌트의 문제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ProcessExplorer을 이용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컴포넌트(DLL)이 로드 되었는지 확인 하는 것입니다

그럼 한번 제 컴퓨터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그것(?)을 찾아보도록 합시다.

1) 먼저 ProcessExplorer로 실행하고 IE 실행 시 로드 되는 DLL을 확인 하기 위해서

그림에서와 같이 View를 설정합니다.

그러면 하단에 해당 Process 실행시 로드되는 DLL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lip_image004

그림 1. ProcessExplorer에서 환경 설정

2) 문제 상태와 정상 상태에서 로드 되는 Process와 DLL을 비교 하기 위해

 IE에서 정상일 때 로드 되는 Process와 DLL 리스트를 저장합니다.

a. IE를 실행합니다.

b. 상단 panel에서 iexplorer.exe를 선택합니다.

c. File > Save As로 화면에 나타난 리스트를 저장합니다. (예. 1.txt)

clip_image006

그림 2. 문제 발생 전 상태

3) 이제 IE에서 문제의 사이트로 이동해

로드되는 로드 되는 Process와 DLL 리스트를 저장합니다.

a. 문제 사이트로 이동시 하단에 새로 로드 되는 DLL이 잠깐 하이라이트 되어 나타납니다,

    이것들이 이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b. File > Save As로 화면에 나타난 리스트를 저장합니다. (예. 2.txt)

c. 문제가 발생하는지 닫기 혹은 다른 사이트로 이동해 봅니다.

clip_image008

그림 3. 문제 사이트에서 로드 되는 DLL들

4) 문제 전/후에 로드 된 DLL을 비교하여 어떤 DLL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추정합니다,

텍스트 내용을 눈 빠져라 비교할 수도 있지만

windiff.exe라는 도구를 이용하면 쉽게 텍스트간의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 Windows 설치 CD에 있는 Windows Support라는 폴더에서 Windows support tool을 설치하면

    windiff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 Windiff.exe를 실행하고 File > Compare Files를 실행합니다.

c. Select First File에서는 Step3번에서 저장한 1.txt파일을 선택하고

    Select Second File에서는 Step4에서 저장한 2.txt파일을 선택합니다.

 

d. 그림에서와 같이 두 파일 텍스트 간에 서로 다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부분). Windiff에서 보면 두번째 텍스트 파일에 처음 문제 발생전과

    다른 새로운 BGM.DLL이 로드 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lip_image010

그림 4. Windiff로 확인한 IE에 로드된 DLL

5) BGM.DLL이 어떤 파일인지 알기 위해 파일 속성을 확인 할 수도 있고

   그림에서와 같이 string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a. ProcessExplorer의 하단에서 BGM.DLL를 더블 클릭합니다.

b. Strings 탭으로 이동합니다.

c. DLL 내부에 있는 String 중에 어떤 ActiveX인지를 알 수 있는 문자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lip_image011

그림 5. String 내용

6) IE에서 BMGCtrl이라는 ActiveX를 Disable 합니다.

a. IE > 도구 > 인터넷옵션 > 프로그램 > 추가 기능 관리

b. String에서 확인 했던 BGMCtrl Clasee가 보입니다. 이것을 선택 합니다.

c. 하단에 ‘사용 안 함’을 선택한 뒤에 ‘확인’을 클릭합니다.

d. IE를 재 시작 한 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 합니다.

clip_image013

그림 6. IE에서 해당 ActiveX를 Disable

사실 위와 같은 경우는 꼭 해당 ActiveX 만의 문재라기 보다는

또 다른 변수와 복합된 문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말씀 드렸듯이 ProcessExplorer의 예제를 보여드리기 위함임을 다시 한번 말씀 드립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설명 드린 방법 이외에도 ProcessExplorer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 합니다.

 다음에도 제 Laptop에 ProcessExplorer의 도움이 필요한 문제가 생기면

  또 한번 포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불펌:https://blogs.technet.com/sankim/archive/2008/01/25/processexplorer-troubleshooting.aspx

 

 

 

 

 

 

 

 

 

 

 

 

 

 

 

 

 

 

 

 

 

 

 

 

 

 

 

 

 

 

 

 

 

 

 

 

 

2009년 8월 29일 토요일

windows7의 다운로드/download/사기?/IDM

 

 

윈7을 사용한 지 4개월 가량 된 것같다.

본격적으로 쓴지는 한달 가량 된것 같은데,

다운로드-특히 과자가 포함 되었거나, 익히 명성이 자자한 싸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할라 치면,

100%다운 되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지만-----

압축을 풀려고 하면 손상된 파일이요.

실행화일은 이러쿵 저러쿵 --하여간 안된다고 한다.

 

방화벽 혹은 안티바이러스류를 떠올리시겠지만,

나는 모두 죽이고서 쓰는 중이다.

 

64비트로 설치된 상태라 가능하면 xp시절 익숙했던 프로그램들과는

작별을 할려고 노력하는 중이었지만, 결국 IDM -Internet Download Manager 를

 

 

설치하였다.

잘 설치되고,빠르게 돌아간다.

물론, 사기에 당하는 일도 없어졌다.

올리는 김에 새로운 버전으로 올린다.

패치도 포함되어 있는데, 나는 그냥 키젠으로 해결했다.

개발자가 강력한 금전취득의 욕구를  갖고 있지는 않은 듯......  ^^ 살짝 미안해요.

flashget, etc  많은 프로그램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강추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유는 살짝 패스ㅡ... 

 

http://www.9down.com/Internet-Download-Manager-5-18-Beta-182677/

 

 

 

 

OGA 알림 제거 방법

펌  http://surewin.kr/?mid=windows7&document_srl=29348

 

 

OGA 알림은 어떻게 작동합니까?

OGA(Office 정품 혜택) 알림은 사용자의 Office 라이선스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검사합니다. 이 과정은 빠르고 쉽고 안전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정책사이트에 설명된 바와 같이, Microsoft는 OGA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거나 연락하지 않습니다.

Office 라이선스와 관련한 문제가 있는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단한 조치를 안내받게 됩니다. Microsoft는 고객을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공합니다.

  • 문제의 원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예를 들어, 원래 소유자가 분실 또는 도난당한 것으로 신고한 제품 키를 실수로 받았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수리 또는 재설치 도중, 원본 제품 키가 사용되지 않고 잘못된 제품 키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 교체용 Office 제품.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의 피해를 받았고 자격이 있는 경우 무료 교체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OGA 알림 제거 방법 1: Disable OGAAddin.dll from Loading with Office Applications

OGAAddin.dll (and OGAVerify.exe) is a few files that been installed by OGA Notifications. OGAAddin.dll allowed OGA Notifications to install as an add-in to applications in Office productivity suites to display not genuine reminder message to illegitimate and illegal copy of Office. By stopping the OGAAddin load behavior and preventing OGAAddin.dll from loading, the Office Genuine Advantage Notifications message can be suppressed.

  1. Run Registry Editor (RegEdit.exe).

  2. Press Ctrl-F to open search box, and search for OGAAddin.connect registry key.

  3. In the right pane, right click on Load Behavior and select Modify.

  4. Change the value data from 3 to 0.

  5. Repeat for each and every OGAAddin.connect found.

With this hack, Windows still treat OGA as installed, and will not prompt user to install again.


4. OGA 알림 제거 방법 2 : Disable and Remove OGAAddin from within Office Applications

  1. Run one of the Office app such as Word, Excel, PowerPoint, Outlook, Publisher and etc as administrator.

  2. Note: Open Windows Explorer, go to %SystemDrive% \ Program Files \ Microsoft Office \ Office12 (may be different depends on version of Office installed and x64 OS uses Program Files (x86) folder), and right click on Office app executable, e.g. winword.exe, excel.exe, powerpnt.exe and etc to run as administrator.

  3. Go to Options (at the bottom of menu triggered by Office button) -> Add-Ins.

  4. Select COM Add-ins under Manage drop menu list, and click Go.

  5. Disable or remoev the OGAAdmin.

  6. Repeat above steps for each and every Office applications installed.


5. OGA 알림 제거 방법 3 : Delete and Remove (Uninstall) Office Genuine Advantage Notifications Components

Although Microsoft does not allow OGA Notifications to be uninstall, but that does not mean that individual file components of OGA Notifications cannot be deleted, removed or uninstalled manually.

To disable OGA Notifications and uninstall KB949810, close and exit from all Office applications (including Outlook, Word, Excel, PowerPoint, OneNote, Publisher, Visio and etc.), and search for the following files in %SystemDrive% \ Wndows \ System32 folder and %SystemDrive% \ Windows \ SysWow64 folder (for 64-bit OS x64 only).

    OGAVerify.exe
    OGAAddin.dll

Delete the above files. It’s also possible rename the files so that system cannot find them.


6. OGA 알림 제거 방법 4 : Remove OGAAddin.connect Registry Key in System Registry

Pretty much similar to method 1 and 2, but it’s quicker and will complete remove trace of OGAAddin.connect from registry. Unlike hack 1, Windows Update may prompt you to install again.

  1. Run Registry Editor (RegEdit.exe).

  2. Go to each and every of the following registry keys, and any other which contains OGAAddin.connect registry value sub-key:

  3.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Office \ Word \ Addins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Office \ Excel \ Addins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Office \ Powerpoint \ Addins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Office \ Outlook \ Addins

  4. Delete the OGAAddin.connect registry value.


7. OGA 알림 제거 방법 5: Properly Uninstall KB949810 OGA Notification via OGANotifier.msi

Tip by AnonyMouse

Easy to uninstall. Just follow these steps:

  1. Go to C: \ Windows \ SoftwareDistribution \ Download \ 8998da55d52b36c0e98ba016ddd50de0 \  folder.

  2. Note: The directory may be different, so if not found search for OGANotifier.cab.

  3. Extract OGANotifier.cab with WinRAR (or using the Expand command at command line) to get a file named OGANotifier.msi.

  4. Right click on OGANotifier.msi, and select Uninstall.

  5. Remember to block the update from been installed again in WU.

With any one of the hacks above, no more Office Genuine Advantage notification message will be displayed and showed on system, regardless of genuine status of the Office software, unless of course, end-user chooses to reinstall KB949810

2009년 8월 28일 금요일

윈도우즈7 한글판 통합하기 초보편

윈도우즈7 한글판 통합하기 초보편   Ol가

한글윈도우즈7 통합강좌 입니다.

 

기본적으로 유틸리티 사용법은 생략합니다.

굳이 사용법이 없더라도 강좌를 보면서 따라하다보면 익힐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준비물 :

영문원판 MSDN 윈도우즈7(얼티밋 또는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을 준비하세요)

한글 언어팩 및 로컬팩 (자료실을 검색하시면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통합용 유틸리티 및 기본언어팩(윈도우즈 AIK라고 통합관련 유틸이 포함된 툴이 있습니다.)

→ 다운로드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696DD665-9F76-4177-A811-39C26D3B3B34&displaylang=ko

AIK중 필수유틸만 모은 OI가님의 통합유틸팩 ( 윈도우즈용 ImageX를 제공하기때문에 편집이 편리합니다.)

다운로드

 

우선 다음과 같이 준비하겠습니다.(예제입니다.)

작업드라이버 : D:\   // 전체작업을 진행할 드라이버 입니다.

작업폴더 : D:\mnt    // 작업에 사용되는 마운트용 폴더입니다.

임시폴더 : D:\7600  // 원본파일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임시폴더 :D:\util     //  작업에 필요한 유틸 및 소스가 있는 폴더입니다.

 

윈도우즈 AIK를 설치하거나 TDM Tools를 설치하고 나면 다음 순서를 밟으세요.

우선 AIK의 경우 시작에서 AIK의 명령프롬포트를 이용하시면 되고, TDM툴을 이용할 경우 관리자 쉘모드를 이용하시면됩니다.

 

쉘모드가 열리면 경로를 D:\ 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작업순서는 boot.wim 파일 수정, install.wim수정 및 기타수정입니다.

먼저 원본영문판의 iso이미지를 압축파일 편집기 및 iso편집기를 이용하여 wim파일을 d:\7600폴더에 넣어둡니다.

두번째로 영문판 원본의 DVD에 있는 boot폴더를 통째로 7600에 넣어줍니다.

세번째로 한글언어팩을 7600에 넣어주고, 한글로컬팩은 간단히 줄여서 ko.cab라는 파일로 이름바꾼후 역시 7600에 넣어줍니다.

마지막으로 필수유틸리티 입니다.

TDM툴을 설치하신분은 설치폴더아래 x86혹은 x64폴더아래 모든 파일을 util이라는 폴더에 넣어줍니다.

AIK를 설치하신 분은 PETools 아래 x86혹은 x64폴더아래 모든파일을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단, 32비트와 64비트의 혼동을 막기위해 한번에 한가지씩만 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핫픽스를 통합하실 경우 util폴더에 핫픽스도 같이 넣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D:\imagex  /mountrw d:\7600\boot.wim 1 d:\mnt

boot.wim파일중 1번파일을 마운트 하였습니다.

D:\Dism /image:d:\mnt /Get-Packages > d:\info.txt

boot.wim파일의 1번파일에 대한 패키지 정보를 D드라이버에 info.txt파일로 저장하였습니다.

많은 패키지들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점은 패키지중 Language Pack 이라고 나온부분은 모두 삭제하고 한글로 바꿔줘야 합니다.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Microsoft-Windows-WinPE-LanguagePack-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Scripting-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Setup-Client-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Setup-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SRT-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WDS-Tools-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Dism /image:d:\mnt /Remove-Package /PackageName:WinPE-WMI-Package~31bf3856ad364e35~x86~en-US~6.1.7600.16385
기존패키지를 모두 삭제합니다.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lp.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fontsupport-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scripting_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setup_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setup-client_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srt_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wds-tools_ko-kr.cab
Dism /image:d:\mnt /Add-Package /PackagePath:d:\util\winpe-wmi_ko-kr.cab
한글화를 위해 한글용패키지를 설치합니다.

기본언어를 한글로 설정합니다.

bcdedit /store d:\mnt\Windows\Boot\DVD\PCAT\bcd /set {default} locale ko-kr
bcdedit /store d:\mnt\Windows\Boot\DVD\PCAT\bcd /set {bootmgr} locale ko-kr
bcdedit /store d:\mnt\Windows\Boot\DVD\EFI\bcd /set {default} locale ko-kr
bcdedit /store d:\mnt\Windows\Boot\DVD\EFI\bcd /set {bootmgr} locale ko-kr
Dism /image:d:\mnt /set-skuintldefaults:ko-kr

이렇게 하면 boot.wim파일의 1번파일에 대한 한글작업은 완료됩니다.

하지만 먼가 부족합니다.

기본언어 지정과정에서 바로 찌꺼기가 생겨 버렸습니다.

일반적으로 보기를 하면 안보이지만

D:\dir /w /a 옵션을 이용하면 찌꺼기들이 잇습니다.

bcd파일은 한글화에 꼭 필요한 부분이고 앞으로도 많이 쓰이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하겠습니다.

앞서 영문원판에서 boot폴더를 통째로 놓아둔 곳이 잇습니다. 해당폴더 아래 bcd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다음처럼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cdedit /store d:\7600\Boot\\bcd /set {default} locale ko-kr
bcdedit /store d:\7600\Boot\bcd /set {bootmgr} locale ko-kr

윈도우즈 탐색기에서 보기설정을 숨김파일보기 및 보호된 운영체제까지 보기로 바꿔줍니다.

boot폴더아래 Log파일이 잇습니다. 이 파일을 모두 삭제 합니다.

삭제후 원래대로 보기설정을 바꿔주시고 기존의 마운트 폴더를 다시 확인합니다.

마운트된 폴더아래 bcd가 있는 곳으로 앞전에 변경한 bcd파일로 바꿔줍니다.

 

다음으로 마운트 폴더아래 en-us항목을 제거합니다.

영문판 제거후 비어있는 디랙토리가 있습니다. 이부분을 삭제하시면 됩니다.

 

마무리가 되었으면

D:\imagex /unmount /commit d:\mnt

로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마운트 폴더를 비워줍니다.

만약 마운트폴더가 완전히 삭제가 안되면 탐색기에서 삭제하셧다가 다시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방금 작업된 boot.wim 파일 중 1번을 따로 추출하여 저장합니다.

D:\imagex /export d:\7600\boot.wim 1 d:\boot.wim "Microsoft Windows PE (x86)"

 

이제 boot.wim파일의 2번파일을 수정합니다.

boot.wim파일은 1.2 두가지로 구성되어 잇습니다.

앞에서 한 과정을 반복합니다.

다만 2번의 경우 언어를 지정하는 곳이 있습니다.

D:\mnt\sources\lang.ini

위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주신다음 다음처럼 바꿔줍니다.

[Available UI Languages]
ko-KR = 3

[Fallback Languages]
ko-KR = en-us

또한 언어팩을 열어주신다음 setup폴더아래 ko-KR을 sources아래 넣어주시고, license아래 ko-KR역시 sources\license아래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경우 기존의 en-us항목은 제거하시면 됩니다.

bott.wim 2번역시 수정완료 후 다음처럼 저장합니다.

 

D:\imagex /export d:\7600\boot.wim 2 d:\boot.wim "Microsoft Windows Setup(x86)"

 

이로서 boot.wim파일에 대한 한글화 작업은 마무리 되었습니다.

 

다음엔 복구모드시 한글화에 대한 강좌를 하겠습니다.

 

 

주)

boot.wim파일 수정 배치파일 보기

 

 

한글판의 완성도는 누가하는가에 따라 다른것이 아니라 누가 얼마만큼 찌꺼기를 잘 제거하는가에 달린것 같습니다.

일부파일은 권한 속성때문에 쉽게 제거가 안됩니다.

강제로 PE부팅후 삭제해 주거나 변경해 줘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시간과 인내의 싸움이지 기술의 차이는 아니라고 봅니다.

과정이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는 단순합니다.

 
IRiS

boot 2 번은 한글팩을 다 설치하고 나면 setup의 ko-KR 폴더와 파일  license ko-KR 폴더와 파일이 저절로 생성댑니다.

그러니 굳이 따로 복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명령어는 간단하게 할수도 있는대에 비해 많이 복잡하네요. 강좌 감사합니다

 

 

붙여쓰면 보기가 어렵죵.. 강좌니깐요 ㅎㅎ;;

7600.16385 이전 버전 언어팩 통합시에는 붙여넣기가 필수엿죠..

또한 install.wim통합시에도 필요한 부분이라 넣어 두었습니다.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의 영문폴더 en-US항목제거도 할수 있을테니깐..

 

댓글 감사합니다. ^^

 

 

포럼에선 인사 못 했지만 감사하다는 글 올린다.

작업을 따라 해 보려 했지만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단 멘트에 좌절.

다음 기회로...

 

 

 

 

 

 

 

AiRoboForm - Enterprise 6.9.96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때마다 해야하는 번거로운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을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

로그인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회원가입시 자동으로 채워넣는 기능과 비밀 메모장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저장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보관된다.

--------------------------------------

 셰어웨어 버전으로 설치하면  30일이 지나서 사용할 수 있는 패스카드 수-100개-와

개인카드 수-?-에 제한이 생긴다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100개면 웬만한 님들은 충분치 않나 싶다.

 

http://www.roboform.com/kr/

 

 

Roboform은 완전히 자동으로 암호를 입력해 주고 웹 폼을 채워주는 최고의 암호 관리자 / 웹 폼 입력기 입니다.

[주요기능]

사용자의 암호와 로그인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
긴 등록정보와 체크아웃 폼을 한번 클릭으로 입력.
사용자의 암호와 압출파일을 완전하고 안전하게 암호화.
해커가 추측할수 없는 무작위 암호를 제작.
일치하는 웹 페이지만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피싱 방지.
암호입력에 키보드를 사용 하지 않을으로써 키로깅 방지.
사용자의 암호를 다른 컴퓨터에 복사하고 백업.
GoodSync를 이용하여 컴퓨터 간의 암호를 일치화.
암호, 노트 그리고 인터넷에서 키워드 검색.
이동성: RoboForm2Go RF는 USB 드라이브에서 작동 하고,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
PDA 지원: Pocket PC 와 Palm의 암호 일치화.
확장성: Internet Explorer, AOL/MSN, Firefox에서 사용 가능.

AiRoboForm-6.9.90_free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입니다.

 

 

 

 

 

 

 

 

AiRoboForm - Enterprise 6.9.96

http://www.mediafire.com/?sharekey=210da276a86eeafbd6baebe61b361f7ce04e75f6e8ebb871

 

 

 

 

 

 

 

 

 

 

 

2009년 8월 27일 목요일

또 하나의 탐색기/xplorer²

xplorer²

 

 

 

 

내가 정말 좋아하고 누구에게나 권하고 싶은 프로그램중 하나

 

strokeit/roboform/winrar/xplorer²

 

모두다 freeware거나 혹은 도네이션버전이 있다.

 

금전을 제공하고 써야한다면 대체재가 없거나, 거의 없어야 함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돼먹지 못한 성능에 금전을 요구한다.

 

위의 프로그램들은 정말 환상적이다. 오늘 이프로그램은 free virsion만 소개하겠다.

맘에 드신다면 구입하거나-그러길 바란다,

역시 구글링하면 pro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프리와 프로의 차이를 느껴서 업글해야겠다면 아마도 구매 하심이.........

win7 X64

29.95$ 조금 비싸다. ㅠㅠ. 그리고 한글판이 없다.

 

 http://www.free-downloads.net/programs/xplorer2_lite_toolbar_bundle

 

 

Windows 7 PID Key Checker 1.0.1

 

 

이 tool을 찾아오셨으니 설명은 필요 없다고 본다.

앞으로 많은 환경이 변하겠지만 윈7은 설치시 정품확인이 되면,서버를 일부러 찾아가 먹통이 되기

전에는 작동할 것이므로....

작동하는 키를 찾는 것이 - fake key 를 피하는것- 관건일 것이다.

haru는 이에 구글신이 응답하였으니 이것이라.

 

 

 

mediaFire가 이에 격분하여 404 fuckU를 외치니 아래로 이사한다.

 

 

 

Windows 7 Ultimate (first leaked key from Lenovo): 22TKD-F8XX6-YG69F-9M66D-PMJBM

Windows 7 Ultimate (second leaked key from Dell): 342DG-6YJR8-X92GV-V7DCV-P4K27

Windows 7 Ultimate (third leaked key from Acer): FJGCP-4DFJD-GJY49-VJBQ7-HYRR2



Windows 7 Professional (fourth leaked key from Acer): YKHFT-KW986-GK4PY-FDWYH-7TP9F

 

 

 

 

 

 

 

 

2009년 8월 24일 월요일

윈도우7 유틸 - 내가 쓰는 셋팅

뭐, 가끔씩 헷갈리지만..

나를 위한 나의 블로그임을 잊지않고 진행하련다.

현재 내가 정리하고 있는 셋팅인데...

불만은 별로 없다.

하드웨어가 좀 받쳐주었슴 할 뿐.

이 유틸들을 하나씩 포스팅 하려 한다.

일단은 7부터....

 

2009년 8월 23일 일요일

winrar + Tzip + key

winrar 3.90k + key  

 

 

 

Tzip+key    

 

 

 

 

 

   rarkey는 자동압축풀림으로 알아서 처리된다.

 

 

두개 다 받으시기를.....

                

2009년 8월 16일 일요일

ghost

 

 

잠은 오고, 술 기운도 오르는데...

압선 글들을 쓰다보니 걱정스러워 빨리 올려야 할 것 같다.

 

이 블로그 오는 님이라곤 컴에는 영 관심 없는듯 보이는 바텐로이님,

한분 뿐이고,

그것도 아니면 slic이나,  7 crackdp 흥미를 갖는 로스케,중국님,왜님뿐이지만

일단 이거는 올려야 맴이 편할 듯...

 

일단 고스트    11

 

 

 

고스트 사용법 네버지식인에서 발췌 그러나

 

참 골라도 잘못 골랐네요.

 

 

 

네 안녕하세요 ^^

 

저도 써봤지만 정말 백업프로그램중에선 최강인듯 하네요 노턴고스트 ㅎ

답변드릴께요.

 

1. 고스트 이미지를 만들어서 밀려는데, 이미지를 뜬 메인컴퓨터와 컴퓨터

 

   사양이 달라도 상관이 없나요?

 

네 상관없습니다 컴퓨터 사양이야뭐..ㅎ 이미지를 복원할 하드디스크 공간만 충분하다면 가능합니다

 

일단 상관이 있습니다. 특히 메인보드가 다르면 상당한 곤란을 겪게됩니다.

만능 고스트 파일 이라고 돌아다니지만...

지금 포스트가 자신마의 설정을 지키려는 백업에 관한 것이니 이쯤하고 패스...

 

2. 메인 컴퓨터로 고스트 이미지를 만들어서 다른 컴퓨터를 밀려는데

 

   다른 컴퓨터에도 고스트 프로그램이 다 깔려 있어야 되는건 가요? 

 

아닙니다 고스트 프로그램은 제일 처음에 부팅디스크를 만들때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부팅디스크를 만들고 그 부팅디스크로 부팅을 하게되면 부팅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노턴고스트가 실행되고

그때 이미지를 뜨시던지 이미지로부터 파티션을 복구하시던지 원하시는데로 작업을 하시면됩니다 ^^

 

아마도 윈도우상의 고스트 프로그램을 쓰시는 님이 답변한듯,

메인보드만 같다면 하드만 따로 띄어서 고스트 이미지 풀고, 다시 장착

재부팅하면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3. 고스트 사용법을 찾아보다 부팅 디스크 관련해서 글이 올라 와 있는걸 봤는데

 

   무슨 내용인지 궁금하네요.;;

 

부팅디스크가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C:를 이미지를뜨고 C:를 복구를해야하는데 OS를 실행한채로 될까요?

당연히 안되죠, 그러니까 부팅디스크가 필요한겁니다 ^^ 보통은 공CD하나 구해서 한답니다.

미치겠다.

역시 급히 구한 답변이라  긁어서 올리구 끝낼렷드니....

날밤새게 생겻다.

 

흠.......................

 

 

4. 메인 컴퓨터의 이미지를 USB에 저장하여 사용할 순 없나요?

 

전 USB에는 저장을 안해봤는데 부팅CD를 만들어서 부팅하고 USB드라이버를 찾으려면 그점에서 문제가 생길듯도 하네요. USB로 부팅하는것만해도 좀 복잡하거든요.

저 같은경우에 한컴퓨터의 이미지를 다른컴퓨터로 다 복원할때 썼던 방법은 하드를 떼서 보조하드로 달아서 이미지를 해당 컴퓨터 파티션에 넣는 식으로 했습니다만.. 이방법이 마음이 편하실듯도 하네요. 쉽기도 쉽고..^^

 

 

혹시라도 의문점 생기시면 쪽지주시구요 ^^

채택부탁드리겠습니다 ^^ 좋은저녁보내세요 ^^

 

전혀 틀린 답변을 단것은 아니겠지만 오해의 여지가 많아 보인다.

해서.....

걍 내가 쓰는 방식으로 쓰시길 바란다.

 

 

1 일단    

 

 

윈도우 xp, 7에서  바로 구동 가능한  ghost 이다.

글 앞의 고스트11 에  버춰디스크  http://www.diskool.com/

를 합한 형식인데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죽 한번 둘러보시라.

 

 

2.   두파일을 각가의 파티션에 알기 쉬운곳에 복사해 놓는다.

      두개인 이유는 혹시 윈-운영체제-가 구동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것이다.

    

3.   snoopy ghost를  실행한다.

     고스트32를 구동하는듯이 움직일 것이다-도스모드로 들어가 고스트 플그램이 실행된다.

 

4.  고스트 사용법을 검색해서 자신만의 폴더로 백업하든가,

    단한번의 백업,  리스토어라면  메뉴를 잘 보고 실행하시라.

 

레지를 망가뜨린 당신이라면 충분히 쉽게 쓸 수 있으리라.

팁:  한번뿐이라면 특히 백업이라면 당신에게 어떤 해도 없다.

 

아,,그리고 2번의/ 시스템 뻑난 상황이라면,

아마도 cd 가 필요할 것이다.

우......

내 컴엔 이미지가 없다.

울트라 이소를 구하여 부팅가능 이미지로 cd 한장 구워 놓으면 좋겠다.

 

자판도 익숙치 않아 1시간을 쓰고도 이렇듯 무성의한 글만이 남게 되었다.

죄송하게 생각하고,

다음에 다시한번 올리기로 하며 .............